컨텐츠 바로가기

12.04 (수)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서울·경기·충청 괘불의 모든 것"…'한국 괘불의 미 3, 4편' 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한국 괘불의 미 4 서울·경기지역'편. 국가유산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일창 기자 =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우리나라 괘불의 조형적 특징을 지역별로 고찰한 학술총서 '한국 괘불의 미 3: 충청지역'과 '한국 괘불의 미 4: 서울·경기지역'을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괘불(掛佛)은 걸개에 거는(掛) 불화(佛畫)로, 사찰에서 개최한 야외 의식에 사용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평소에는 말아서 궤(櫃)에 넣어두었다가 의식 진행 시 걸개에 걸어서 펼치기 때문에 대부분 가로보다 세로가 길다. 괘불의 세로 길이는 짧게는 약 5m, 길게는 14m에 이른다.

괘불의 압도적인 규모와 도상적 특징은 다른 나라의 불화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우리나라만의 독창성과 예술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크기와 무게, 그리고 전국의 사찰에 산재하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조사와 연구에 많은 재원과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연구원은 1985년부터 2001년까지 17년간 광복 이후 처음으로 전국 각 사찰에 소장된 괘불을 국가 차원에서 직접 조사했다. 2015년부터 올해까지는 성보문화유산연구원과 함께 대형불화에 대한 정밀 조사를 진행했다.

2022년부터는 그간의 조사 결과를 미술사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우리나라 괘불의 조형적 특징을 지역별로 살펴보는 심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앞서 그 연구 결과를 담은 '한국 괘불의 미'의 경상(2022년)과 전라(2023년)지역 편을 발간했다.

제3편(충청지역)에는 사찰에 소장된 국가지정 괘불 15점의 지역별 조형적 특징과 역사성에 대한 조사 결과를 수록했다.

충청지역에는 괘불 조성 초기에 해당하는 17세기의 괘불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남아있다. 특히 '장엄신'(莊嚴身)이라는 독특한 도상이 충청지역의 괘불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이는 괘불의 출현과 도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또 일찍이 충청지역에서 유행한 미륵신앙의 전통 속에서 조성된 괘불은 현존 수량이 많지 않은 미륵불 괘불 연구에 핵심적인 작품이다.

제4편(서울·경기지역)에는 국보·보물로 지정된 괘불 6점의 도상 분석, 시주자, 화승, 채색 재료와 기법에 대한 조사 결과를 담았다.

조선 초기부터 시행된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으로 서울·경기지역의 많은 사찰이 철폐되었지만, 왕실의 불사(佛事)는 꾸준히 이어짐에 따라 조선 후기에는 왕실발원 불화의 전통을 계승한 수준 높은 괘불이 조성됐다.

19세기 이후에는 괘불 조성이 더욱 활발해지며 근대기 이후의 괘불 양식을 주도했다. 특히, 이번 편에는 괘불 심화 연구를 마무리하며 괘불의 시주자와 시주 물품, 범자(梵字), 문양 등에 대한 고찰을 특별기고의 형식으로 수록했다.

보고서는 국공립 도서관과 박물관, 연구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다.

ic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