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6 (월)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화웨이 “美 제재 속 글로벌化”… 반도체 관련 질문엔 ‘침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상하이 R&D센터 가보니

2025년 ‘트럼프 2기’ 출범 앞두고

인재 적극유치 등 장기전 대비

“유럽처럼 이성적인 국가에선

제재 조치로 지장받은 바 없어”

반도체 생산 직접 했는지 묻자

즉답 피했지만 자신감 내비쳐

“과거 韓서 매년 100억弗 구매

지금은 협력 수준 굉장히 낮아”

“트럼프 1기 때 미국의 제재로 어려웠던 건 사실이지만 지난 수년간 할 수 있는 일을 해왔습니다. 글로벌화를 통해 이익을 추구해 왔고, 제재 이후 중국 반도체 시장을 빠르게 성장시켜 왔습니다. 유럽처럼 이성적인 국가들에서는 제재 조치로 인한 지장은 없습니다.”

중국의 ‘기술 굴기’를 상징하는 중국 최대 통신장비 기업인 화웨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신정부 출범을 앞두고, 트럼프 1기 때보다는 미국의 강도 높은 제재에 준비 태세를 갖춰 왔음을 강조했다. 지난 5년의 제재가 중국 반도체 시장을 오히려 빠르게 발전시켰으며, 세계 시장 및 인재 유치에도 공을 들임으로써 장기전에 대비했다는 설명이다.

세계일보

중국 상하이 푸둥신구에 위치한 화웨이 연구개발센터 전시홀 모습. 화웨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29일 방문한 상하이 푸둥신구 화웨이 연구개발(R&D)센터에는 약 2만명의 직원이 스마트폰과 스마트 운전, 무선이동통신 관련 장비 연구에 투입되고 있었다. 2000년 설립된 이곳도 엄청난 규모이지만 내년 3월 완공되는 상하이 칭푸구의 칭푸연구센터가 세계 최대 규모로 지어져 약 3만명의 직원이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본사가 선전에 있는 화웨이는 무선 디바이스 개발은 상하이라는 지역이 중요하기에 이곳을 연구개발의 주요 거점으로 삼고 있다.

센터의 전시관에서는 2024년 5.5G 상용화 원년을 맞아 인공지능(AI)을 비롯해 다양한 연결을 가능케 하는 화웨이의 인터넷 관련 디바이스 및 서비스가 소개됐다. 사람, 스마트홈, 자동차, 사물, 산업 간에 이르는 5개의 고대역 저지연 인터넷 연결 기술을 시연했다.

화웨이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은 현재 ‘반도체 위기’에 쏠려 있다. 미국의 견제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는 화웨이가 지난 수년간 이에 대응하며 한 것은 연구개발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다. 독자 기술개발만이 살길이라는 판단에서다. 전 세계 화웨이 직원 20만7000여명 가운데 55%가 연구개발 인력이며, 총수익 23%가량을 다시 연구개발에 투입하는 식으로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선전, 둥관, 상하이, 난징, 베이징을 비롯해 독일 뮌헨, 중동, 영국 등 주요 대학의 인재가 모이는 곳에 화웨이가 연구개발센터 거점을 마련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이를 통해 현지에서 바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지역별 특색에 맞게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전략을 짜고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는 아트 촬영 관련 장점이 있기 때문에 아트연구센터를, 러시아는 수학이 뛰어난 곳이라 기초기술 관련 연구센터를 배치하는 식이다.

미·중 갈등으로 인한 위기는 반도체 장비에서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중국이 국산화를 가속화하게 된 계기가 됐다. 화웨이는 모바일용 반도체 독립에 성공한 데 이어 토종 운영체제를 적용한 최신 스마트폰 ‘메이트 70’을 최근 공개했다. 내년 1분기부터는 미국 엔비디아에 대항할 새로운 AI 칩을 양산할 예정으로도 알려졌다.

화웨이 관계자는 화웨이가 일찍부터 뛰어든 반도체 설계 이외에 생산도 직접 했는지는 확인해 주지 않았다. 이를 포함해 반도체 관련 질문에는 모두 즉답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개발 중인 기술과 제품에 대한 자신감은 내비쳤다. 화웨이 측은 미국의 제재로 서방의 장비 구매 및 현지 영업에 대한 영향을 묻는 말에 독일,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등에서 영업은 정상적이라 답하며 “유럽은 더 좋은 제품을 쓰고 해결방안을 찾으려는 독립적 마인드를 갖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 (제재 때문에) 지장을 받은 바는 없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한국 기업과의 협력에 대해 “2019년 미국 제재 이전 한국과 반도체 협력이 활발했지만, 지금은 굉장히 낮은 수준”이라며 “제재를 받지 않는다면 한국의 선진 제품을 구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 매년 한국에서 100억달러어치 반도체를 구매했던 적이 있는데, 우리 수요가 얼마나 큰지를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기업은 트럼프 2기를 앞두고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최근 해빙 무드를 보이는 한·중관계에 경제협력 기대를 내비치는 모습이다. 전날 만난 김영준 주상하이총영사는 “내년 시진핑 주석의 방한이 유력시되는 등 한·중관계가 (다시) 발전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중국 관련 한국 기업의 투자·운영상 어려움이 이를 계기로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감의 표명이다.

상하이=정지혜 기자, 외교부 공동취재단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