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2 (월)

'플라스틱 협약' 부산 합의 무산… 생산 감축 놓고 이견 못 좁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1일 '플라스틱 국제협약' 부산 회의에 참석한 각국 대표.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에서 열린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국제협약 회의가 국가별 이견으로 협상을 매듭짓지 못했다. 플라스틱 생산 감축을 놓고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플라스틱 생산국과 합의하지 못하면서 최소한의 '선언적 협약'도 나오지 않게 됐다.

지난 1일은 협상 최종일이었다. 170여개 당사국이 모두 모여 마지막 본회의를 열었지만 끝내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국제사회는 2022년 3월 플라스틱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적 구속력을 갖추 협약을 마련키로 하고 협상위원회를 개최해 왔다.

플라스틱 협약 5차 협상위는 지난달 25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됐다. 협상 막판까지 합의를 보지 못하자, 우리 정부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김완섭 환경부 장관을 부산으로 보내 조율을 시도했다.

하지만 생산 감축 이슈가 끝내 발목을 잡았다. '플라스틱 또는 1차 플라스틱 폴리머(화석연료에서 추출한 플라스틱 원료) 생산 규제'와 '유해 플라스틱·화학물질 퇴출', '협약 이행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 등이 협상 테이블에 올랐지만, 플라스틱 생산국 진영에서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중앙일보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 16개 환경단체가 모인 '플뿌리연대'(플라스틱 문제를 뿌리 뽑는 연대) 회원들이 모여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대 생산국인 중국은 예상보다 전향적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는 협약에 생산규제 조항을 포함하는 것에 '절대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했다. 러시아는 모든 국가가 수용할 수 있는 조항에 집중하자는 논리를 펼쳤다.

루이스 바야스 발비디에소 의장은 이날 당초보다 후퇴한 협약 초안 수정본을 내놓기도 했다. 생산 감축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병렬적으로 나열한 수준이었지만 이마저도 합의가 불발됐다. 이에 따라 부산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추가 회의를 열고 협상이 재개될 전망이다.

플라스틱은 매년 4억6천만t 이상 생산되고 있다. 절반 이상이 일회용이며 재활용률이 9%에 그친다. 현대 사회가 '플라스틱 문명'이라 불릴 만큼 무분별하게 생산·소비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협약이 체결되면 유엔기후변화협약처럼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협약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철웅 기자 kim.chulwoon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