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제타큐브, 파일코인 방콕 '인공지능과 DePIN의 만남' 행사 참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파일코인 FiL Bangkok Mainstage의 메인 스폰서로 참여한 제타큐브의 조정현 대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탈 중앙화 초소형 데이터센터 솔루션 전문 기업 제타큐브는 이달 6일부터 13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파일코인 개발자 회의 'FiL Dev Summit #5'와 'FiL Bangkok Mainstage'에 프리미엄 스폰서 자격으로 참가했다고 27일 밝혔다. 제타큐브는 행사에서 NANODC(나노데이터센터)를 소개하는 강의와 부스를 선보였다.

행사는 파일코인 재단 주최로 매년 세계 주요 도시에서 열리는 탈 중앙화 스토리지 관련 세계 최대 개발자회의이자 쇼케이스다.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DePIN(탈 중앙화 물리 인프라 네크워크)으로서의 파일코인 네트워크와 인공지능(AI) 서비스의 만남을 주제로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각국에서 1000여명이 참여했다. 참가자가 개발품을 선보이고 기술을 공유하는 콘퍼런스이자 네트워킹 축제다.

제타큐브는 자사의 혁신적인 초소형 탈중앙화 데이터센터 솔루션인 NANODC를 소개하고 한국의 실제 설치 사례를 영상으로 시연해 해외 참가자로부터 큰 관심을 모았다.

제타큐브는 11일 열린 본행사 '파일코인 방콕 메인스테이지'에서는 NANODC를 알리고 설명하는 전시 부스를 선보였다. NANODC의 혁신성과 핵심 기술을 소개해 세계에서 모인 수많은 참관자에게 설치 문의를 받았다.

전자신문

FiL Bangkok Mainstage에 설치된 제타큐브의 NANODC 부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타큐브의 NANODC는 세계 어디에나 제품을 배송하면 설치할 수 있는 초소형 데이터센터 솔루션이다. 손쉽게 탈 중앙화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를 보급할 수 있는 'NANO DePIN Center'가 된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DePIN은 2023년 말부터 블록체인과 WEB3.0 시장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기술이다. 탈 중앙화 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컴퓨팅 파워, 스토리지, 에너지, IoT 정보 등 다양한 현실세계의 물리 인프라를 연결 공유함으로써 서비스화하는 혁신적인 시스템이다.

완전히 분산된 물리적 구조와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되기 때문에 보안성과 안정성이 탁월하며 중앙 집중형의 독과점 형태를 막을 수 있어 비용적으로 매우 저렴하다. 또 토큰경제를 도입해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기여만 하면 수익을 얻을 수 있어 4차 산업혁명을 현실화할 도구로 미주 등지에서 집중 조명받고 있다.

특히 AI 기술이 초고속으로 발전하면서 이를 훈련시키고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빅데이터와 GPU 컴퓨팅 파워 등의 자원 수요가 폭발하고 있는 현시점의 대안은 종래의 중앙 집중식이 아닌 탈 중앙화 DePIN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구현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때문에 앞으로 DePIN의 수요는 무궁무진 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미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앞다퉈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여 연구개발하고 있다.

전자신문

DePIN에 공급 중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현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향후 제타큐브는 NANODC에 탈 중앙화 스토리지 DePIN인 파일코인뿐만 아니라 컴퓨팅, 네트워크, IoT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는 DePIN 노드를 탑재해 여러 핵심 인프라를 지원, 많은 수익을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NANO DePIN Center (나노디핀센터)로 확장하는데 총력을 쏟을 계획이다.

조정현 제타큐브 대표는 '본 행사를 통해 NANODC가 DePIN 네트워크 구축에 매우 실용적이고 없어서는 안될 핵심 기술임을 참여한 전 세계 엔지니어들과 사업자들에게 알리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2025년이 대한민국의 DePIN 원년이 될 수 있도록 기업과 학부, 정부 기관들과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호준 기자 newlevel@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