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는 기업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환경(E)은 기후변화 대응과 자원 관리, 탄소 배출 감소를 포함하며 사회(S)는 노동권 보호, 다양성과 포용성 증대,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다룬다. 지배구조(G)는 기업의 투명성과 윤리적 경영, 내부 통제 시스템 강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준들은 단순히 환경을 보호하거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차원을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업의 자발적 사회공헌 활동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과는 구분된다. ESG는 투자자와 금융시장의 요구에 따라 기업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해 평가하는 기준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ESG가 기업 본질과 무관한 외부 압력으로 작용하며 공시 의무화가 기업 활동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 시절 비슷한 주장을 펼쳤던 만큼 그의 복귀가 관련 정책의 후퇴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능성이 거론된다. 하지만 제기되는 가능성과는 달리 미국의 정치적 변화가 ESG 흐름을 흔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ESG는 이미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인 대세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유럽연합(EU)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와 같은 강력한 환경 규제를 준비 중이며 투자자들 역시 지속가능성을 기업 평가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다국적 기업들은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기준을 따를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미국 기업이 EU 시장에 제품을 수출하려면 CBAM을 준수해야 하며 이는 기업의 공급망 관리와 탄소 배출 감축 노력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투자자들은 ESG를 기업의 리스크 관리와 장기적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 블랙록과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들은 ESG를 고려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의 동참을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국내에서도 ESG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2021년 금융위원회는 코스피 상장사에 대해 단계적으로 관련 공시를 의무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대기업들은 자체적으로 ESG 경영을 강화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공공기관의 경우 2022년 35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ESG 경영공시를 시범 도입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해당 항목을 포함해 공시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ESG는 단순히 규제가 아니라 경쟁력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자리 잡고 있다. 다만 공시 도입 시기는 기업들의 준비 부족을 이유로 당초 2025년에서 2026년 이후로 연기됐다. 기업의 준비 부족이 표면적 이유지만 사실 정부도 ESG 공시 의무화를 위한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 체계 마련이 미흡한 상황이다. ESG 공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준비와 함께 정부의 제도적 기반 구축도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ESG 패러다임은 개별 국가의 정책 변화를 넘어 글로벌 경제와 사회 전반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가 미국 내 관련 흐름에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세계적인 위상까지 흔들기는 어렵다. 이는 단순한 규제나 유행이 아니라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는 점에서 되돌릴 수 없는 흐름이기 때문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ESG는 이제 필수 경쟁력이 됐다. 기업들은 단기적 비용 증가를 우려하기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관련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정부는 기업들이 ESG 체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단계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중소기업의 ESG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글로벌 기후위기 속에서 ESG는 우리 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