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최천욱 기자] ‘인공지능(AI) 시대에는 누가 돈을 벌게 될까?’
‘인공지능과 함께 사는 미래의 삶은 어떠할까?’
19세기 골드러시 때, 안정적인 수익을 올렸던 사람들은 금광 탐사자가 아니라 금광 개척에 필요한 곡괭이(pick)나 삽(shovel) 같은 도구를 팔던 사람들이었다. 잘 찢어지지 않아 금광 개척민들이 즐겨 입었던 청바지 회사도 돈을 벌었다. 이른바 ‘픽앤쇼벨’ 전략이다. 이처럼, 인공지능 시대의 ‘픽’과 ‘쇼벨’을 찾는 넓은 시야와 안목이 필요하다.
저자는 그 답을 찾기 위해 기술과 산업, 경제와 문화를 오가며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상상했다. 저자는 특히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지혜롭게 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흐름’을 읽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기술변화의 흐름을 통해 인공지능 시대 트렌드를 간단명료하게 들려준다.
신간 '인공지능 시대에는 누가 부자가 되는가'(저자 최연구)는 이러한 물음을 답을 내놓은 책이다.
이 책은 인공지능의 기술적 측면보다는 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의 부와 우리 삶의 변화를 다뤘다.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모두가 인공지능 전문가가 되라는 것은 아니다. 그 첫걸음은 새로 나온 AI 앱을 써보고 AI 관련 소식을 꼼꼼히 챙겨보는 식의 관심과 노력이다.
알파고, 챗GPT 등의 첨단 인공지능은 오늘날 세상의 규칙과 판도를 바꾸는 ‘게임 체인저’가 되고 있다. 앞으로의 세상은 ‘인공지능 시대’가 될 것이다. 인공지능은 개인의 선호 문제가 아니며, 이를 받아들일지 말지 선택의 문제도 아니다. 싫든 좋든 우리는 누구나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인공지능의 미래는 곧 인류의 미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의 미래는 상당 부분 인공지능과 함께 어떻게 살 것인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 앞으로 인공지능이 어디로 갈지, 그 답은 우리 인간이 스스로 찾아야만 한다. 우리가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에 관심을 가지고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막이 오른 인공지능 시대, ‘쿼바디스 AI?’ 中)
이런 맥락에서 책 내용의 상당 부분을 증시에 할애한 것도 이 책의 특징이다. 자본주의 경제와 기술 발전에서 증시가 보여주는 상징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의 미래는 결국 인간의 기대와 두려움 사이, 그 어디쯤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에 대해 희망만 얘기해도 안 되고, 위험만 과장해도 안 된다는 것. 저자는 두려움과 불확실성을 극복해야 기회를 찾을 수 있는 점에서, 저자가 소개하는 인공지능 시대의 부의 생태계와 사회문화는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독자에게 ‘황금 레시피’가 될 것이라고 조언한다.
저자 최연구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파리7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사회학 석사(DEA) 학위를, 마른 라 발레 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19년간 근무하며 과학문화협력단장, 이사장 직무대행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필로 스페이스 고문, 부경대 대학원 과학기술정책학과 겸임교수, 건국대 대학원 문화콘텐츠·커뮤니케이션 겸임교수,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사로 재직 중이며 연구, 강연, 집필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미래를 읽는 문화경제 트렌드》, 《4차 산업혁명과 인간의 미래》, 《과학기술과 과학문화》 등 16권의 저서가 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