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방 마치고 귀국… ‘내치의 시간’
대통령실은 이날 윤 대통령 귀국 후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이와 관련한 회의를 연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지난 10일 임기 반환점(2년 반)을 돈 윤 정부는 소득·교육 양극화 해소를 내걸고 관련 세부 정책 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 수석·비서관실과 정부 각 부처에 “임기 전반기 2년 반 성과를 자화자찬하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간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 취임 후 탈원전으로 인해 파괴된 원전 생태계 복원, 재정 건전성 확보와 민간 주도 성장 등 각종 국정 부조리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고 일정 정도 성과를 냈지만 지금은 더 낮은 자세로 대한민국이 마주한 양극화 문제 등을 타개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는 쪽으로 기조를 정했다”고 전했다.
대통령실과 정부 각 부처는 윤 대통령 임기 반환점을 맞아 국정 성과를 홍보하는 자료를 냈다. 그러나 대통령실과 정부 안에서도 “오히려 언론과 국민 일각에서 자화자찬한다는 역풍을 불렀다”는 반성이 제기됐다고 한다. 한 정부 관계자는 “각종 성과 홍보 자료를 내고 브리핑을 했지만 언론에서 그다지 우호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다”며 “대통령실에서 낮은 자세로 민생에서 성과를 낸다는 자세로 국정에 임하라는 지침이 전파됐다”고 전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후반기 핵심 국정 과제로 제시한 양극화 타개 방안 수립에 집중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소득·교육 양극화 타개를 내건 만큼 이와 관련한 세부 정책 과제를 수석실별, 정부 부처별로 모으고 있다는 것이다. 이명박 정부가 임기 초반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앞세우다가 임기 중반에 접어들면서 ‘중도실용·친서민’ 정책 기조로 전환한 사례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대대적인 인적 쇄신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국무총리를 비롯해 재임 2년을 넘긴 장관은 물론 국정 추진 성과에 부족함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 장관까지 포함해 중폭 이상 개각도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총선 직후 이미 사의를 밝힌 한 총리도 최근 윤 대통령에게 장관 업무 성과와 관련해 가감 없이 자기 생각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의 한 중진 의원은 “조각(組閣)에 준하는 인사를 통해 국정 후반기 동력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의견이 용산에 다양한 경로로 접수되고 있다”고 했다. 개각과 관련해 대통령실에선 총리는 정무와 협치를 감안한 여권 중진 정치인, 경제팀 각료는 위기 국면 타개에 적합한 중량감 있는 인사를 물색 중이라고 한다.
음주 운전으로 2개월 정직 징계를 받은 뒤 대통령실로 복귀해 논란이 됐던 강기훈 국정기획비서관실 선임행정관도 이날 사의를 표명했고, 윤 대통령은 이를 조만간 수리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수석비서관이나 논란이 된 일부 비서관에 대한 쇄신 인사도 이르면 이달 말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양승식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