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지사-이장우시장 "대전과 충남은 한 뿌리"
명칭과 성격 규명 등 고난한 여정 될 듯
[대전=뉴시스]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가 21일 대전-충남 행정구역 통합 관련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2024. 11. 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대전과 충남이 분리한 지 35년 만에 통합의 길을 걷게 됐다.
두 시도는 1898년 대전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35년 동안 분리돼 있다 다시 합가하기로 해 의미가 남다르다. 21일 두 시도의 행정구역 통합 공동선언문을 채택한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는 "대전과 충남은 한 뿌리"임을 강조하며 통합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두 사람은 정치적 동맹관계나 다름없다. 국회의원 시절부터 서로를 너무 잘 알기 때문에 이번 통합 논의도 급물살을 탄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수도권 일극 중심과 지방소멸을 극복하기 위해 두 사람이 의기투합했다.
통합 논의 과정에서 험난한 여정이 예견되지만 통합이란 대의에 접점을 찾게 된 것은 최근 대구와 경북의 통합 논의가 본격화된 게 자극제가 됐다.
이 시장과 김 지사는 오래전부터 물밑 접촉을 갖고 통합 문제를 고민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발전연구원과 충남발전연구원에서도 두 시도 통합 구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던 터라 오는 지방선거 전까지 통합을 완성한다는 구체적 청사진도 제시된 상태다.
이 시장은 이날 충청권 대망론의 주자로 김 지사를 치켜 세웠다. 오는 지방선거에서 어느 한 사람이 불출마해야 하는 상황에서 김 지사를 대권에 접근한 정치인으로 묘사한 것이다.
김 지사도 "마음을 비웠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의원 재선 시절 박근혜 탄핵 때 정치에 대한 회의를 많이 느꼈다. 많은 고뇌와 번뇌에 쌓였었다"면서 "충남도지사 출마도 마지막 봉사라 생각하고 나가게 된 것"이라며 통합에 강한 의지를 내보였다.
행정구역 통합을 위해 두 시도 동수로 구성하는 (가칭)행정구역통합 민관협의체도 곧장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대전과 충남에서 각각 15명씩 30명 선으로 구성될 민관협의체는 통합법률안을 마련한 후 두 시도에 제안하기로 했다.
이후 통합 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특별법 제정과 연방 국가의 주(州)에 준하는 실질적 권한과 기능을 확보하는 국가 사무와 재정 이양을 통해 대전충남특별시나 대전충남특별자치도로 출범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대전과 충남은 같은 생활, 경제권임에도 불구하고 국책사업 유치 경쟁 과열 및 산업생태계 중복투자, 광역교통, 문화, 의료시설 등 늘어나는 광역행정 사무 처리 어려움과 과잉 투자 발생, 인구감소로 인한 소도시 재정력 약화 및 행정적 비효율 증가 등 각종 난맥상을 보였다.
행정통합이 이뤄지면 대형 국책사업과 투자 유치를 위한 소모적 경쟁이 줄어들고 자치단체 경계를 넘어서는 교통망, 공공시설 구축 등 광역행정 수요에 대해서도 더 긴밀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대전=뉴시스]대전시와 대전시의회, 충남도와 충남도의회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과 충남 통합 추진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사진=대전시 제공). 2024. 11. 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와함께 생활권과 행정구역의 불일치로 인한 불편을 효과적으로 해소하면서 규모의 경제를 통해 행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대전시(144만 명)와 충남도(213만 명)가 통합할 경우 인구 약 360만 명에 달하면서 광역경제권이 형성돼 대전의 우수한 연구개발 역량과 인적자본, 충남의 탄탄한 제조업 기반이 시너지를 내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높이고 수도권에 필적하는 성장이 기대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한뿌리에서 시작한 대전과 충남이 통합해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춰야 대한민국이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며 "통합 추진 과정에서 시·도민 의견을 충실히 듣고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kshoon0663@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