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사상~하단선 땅꺼짐 원인 '빗물 역류로 차수벽 파손' 결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1일 부산시 지하사고조사위원회 조사 결과 발표

8월 발생한 사상~하단선 1공구 땅꺼짐 현상 원인 밝혀

8월 21일 땅꺼짐 원인, 빗물 수압에 의한 차수벽 파손 결론

20일 땅꺼짐은 지하 우수박스 파손으로 발생

부산시, 지반침하위험도평가 실시…재발 방지 대책 마련

노컷뉴스

21일 오전 부산시청에서 부산시 지하사고조사위원회 임종철 위원장이 사상~하단선 땅꺼짐 현상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정혜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가 사상~하단선 공사구간에 발생한 땅꺼짐 현상에 대한 사고 조사를 마치고, 역류한 빗물로 인한 차수벽 파손 등이 원인이라고 판단했다.

부산시 지하사고조사위원회는 지난 8월 발생한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1공구 주변 땅꺼짐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조사위원회는 지난 8월 20일 사상구 감전동 도로에 발생한 폭 7m, 깊이 3.5m 규모 땅꺼짐 현상이 "빗물 역류로 공사구간 차수벽이 파손되면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조사위원회에 따르면 이 지역은 애초 연약지반 등을 고려해 콘크리트 말뚝을 겹쳐 시공하는 'CIP' 공법으로 설계됐다.

그러나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지하 매설물로 'CIP' 공법이 불가능해지자 흙막이 차수벽을 만들고 토양에 시멘트 물을 주입하는 'SGR' 공법으로 시공했다. 일반적으로 'SGR' 공법은 "CIP' 공법보다 누수차단 효과가 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당일 50㎜에 달하는 많은 비가 내리면서 오수관에 빗물이 역류해 압력이 높아졌고, 이에 누수로 흘러나온 물과 주변 흙이 굴착면 밑부분으로 유출되면서 땅꺼짐이 발생했다는 게 조사위원회 설명이다.

노컷뉴스

8월 20일 오후 7시쯤 부산 사상구 감전동 새벽시장 인근 골목에 땅꺼짐 현상이 발생했다. 부산경찰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변경된 공법의 적합성이나 차수벽의 품질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공사 과정에서 우수관 등 지하 매설물에 대한 고려는 미흡했다는 판단이다.

지하사고조사위원회 임종철 위원장은 "해당 공법은 유속이 없을 경우에는 차수벽이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강한 수압 때문에 (차수벽에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차수벽 자체 성능은 기준을 만족시키는 결과가 나왔다"면서도 "처음부터 벽을 이중으로 시공한다거나 지하 매설물에 대한 고려가 조금 더 있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루 뒤인 8월 21일 사상구 동서고가도로 하부에 발생한 깊이 1m 땅꺼짐 현상은 지하에 묻힌 노후 우수박스가 파손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우수박스가 파손돼 내부로 빗물뿐 아니라 흙이 들어갔고, 하부 지반이 이완되면서 도로 위 차량의 하중을 견디지 못해 땅꺼짐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시와 사고조사위원회는 공사구간의 땅꺼짐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도 함께 마련했다.

특히 부산시는 공사 구간 중 지하 매설물로 인해 공법을 설계변경한 지점에 대해 지반침하위험도평가를 실시하고 시멘트를 주입하는 차수벽 견고화 작업 등 조치에 나설 예정이다.

또 유출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계측값에는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나타나자, 계측기 설치 위치와 계측값의 적정성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등 대책도 검토한다.

부산시 임원섭 도시공간계획국장은 "조사 결과와 재발방지 권고사항을 부산교통공사 등 관련기관에 통보해 빠른 시일 내에 조치하도록 하겠다"며 "9월에 발생한 2공구 땅꺼짐 사고 조사 결과와 함께 종합적인 재발 방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