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6 (일)

“전력수요 98% 늘 때 송전망 26% 증가…전력망확충법 시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안’이 정기국회 통과를 목표로 속도를 내면서 산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법에는 평균 4~5년이 걸리는 입지선정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송전설비 입지 결정 시한을 2년으로 제한하자는 조항이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가 오는 26일 소위원회를 열고 전력망 확충법 등을 심사할 예정이다. 정기국회 마지막 본회의는 다음 달 10일 열린다.

인공지능(AI) 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가 크게 늘면서 전력망 확보는 산업계의 과제로 떠올랐다. 관련 업계에선 전력수요나 발전설비 용량은 크게 늘고 있지만, 송전설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2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내놓은 ‘산업계 전력수요 대응을 위한 전력공급 최적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최대 전력 수요는 2003년 47기가와트(GW)에서 2023년 94GW로, 98% 증가했다. 이 기간 발전설비 용량(56GW→143GW)은 154% 늘었지만, 송전설비는 2만8260서킷킬로미터(c-㎞)에서 3만5596c-㎞로, 26%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기를 만들 발전설비는 충분히 있지만, 이렇게 만든 전기를 수요가 많은 곳으로 보낼 송전망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대한상의는 송전망이 부족한 가장 큰 이유로 송전망 건설사업 지연을 꼽았다. 최근 송전망 건설사업이 지역 주민 반대 등으로 평균 5~6년 이상 지연되고 있어서다. 동해안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동해안-신가평 HVDC(500㎸) 선로, 해안 발전소와 수도권을 연결하는 북당진-신탕정(345㎸) 송전선로는 계획했던 건설 기간보다 각각 66개월, 150개월 지연됐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