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4 (목)

이슈 혼돈의 가상화폐

“코인 대박 김과장 이것부터 샀다며?”…가상화폐가 집값 올리는 효과, 진짜였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랠리 한달새 39% 쑥
내년 20만弗 돌파 전망까지

국내 코인거래 증시 두배
도지 등 알트코인에만 몰려

“비트코인 가격 급등하면
강남아파트 상승” 연구도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연일 최고가 경신 행진을 이어가며 9만달러도 넘어섰다. 미국을 제외한 주요국 증시가 맥을 추지 못하고 있는데다 달러화와 강세로 대부분의 통화가 약세를 기록하는 와중에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만 연일 상승하는 형국이다.

13일 미국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9만달러를 넘어섰다. 이후 소폭 하락하며 오후 3시 기준 8만727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가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비트코인 가격은 한 달 만에 38.9%가 올랐다. 최근 일주일에만 17.5% 상승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2위와 3위인 이더리움과 솔라나도 각각 한달새 23.1%, 36.4% 올랐다.

‘가상자산 대통령’을 자처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기대감에 선거 전부터 시작된 ‘트럼프 트레이드’의 영향이다.

코인 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코인거래소 직전 24시간 거래대금은 36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최근 11월 국내증시 일평균거래대금(15조원)의 배를 넘어섰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트럼프와 가상자산 지지 스탠스의 여러 의원이 상·하원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미국 감독당국의 규제가 빠르게 해소될 것”이라며 “가상자산 산업 전체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가격이 앞으로도 크게 오를 것이라고 낙관했다. 제프 켄드릭 스탠다드차타드은행 애널리스트는 “랠리가 이제 막 시작했다”면서 연말까지 12만5000달러, 내년 말까지 20만달러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코인으로 유명세를 탄 도지코인과 도지코인을 따라 강아지 캐릭터를 내세운 시바이누코인 역시 이날 하락했지만 최근 한달새 각각 222.7%, 35.0% 상승했다.

특히 한국시장에선 비트코인보다 도지코인이 더 많이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이 워낙 비싸진데다 변동성은 도지코인이 더 높은 때문으로 풀이된다. 13일만 보더라도 도지코인은 업비트 전체 거래대금의 33%를 차지하며 비트코인 거래대금의 4배 이상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투기적인 투자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비트코인 상승세에 힘입어 국내 코인 관련 주식 종목도 덩달아 올랐다. 비상장 주식으로 거래되는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주식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날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새 두나무(업비트 운영)와 빗썸의 비상장 주가는 각각 30.7%, 26.5% 상승했다. 두나무 지분을 보유한 상장사인 한화투자증권은 1주일새 6.6%올랐다. 코인원의 2대 주주인 컴투스홀딩스는 같은 기간 8.8% 뛰었다.

한편 국내에선 비트코인 가격 급등이 강남 아파트값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정석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는 최근 발간한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논문에서 부동산과 코인, 증시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가상자산이 국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유 교수는 2014년 10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10년간 KB부동산 주간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비트코인 수익률, 코스피, 코스닥 지수 등을 활용해 각 자산시장 간 영향을 분석했다. 유 교수는 매일경제와 인터뷰에서 “2023년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할 당시 가상자산과 주식시장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일부 투자자들이 가상자산에서 얻은 수익을 부동산으로 재투자하는 경향이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 결과 부동산 시장과 가상자산 시장, 주식시장 간에는 지속적인 영향이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유 교수는 특히 강남구 아파트가 비트코인과 코스닥시장 가격 변동에 더 크게 반응했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