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트럼프노믹스가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에 특히 더 큰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부정적 관측 때문이다. 트럼프가 내세운 고관세와 감세, 이민정책 등의 공약이 현실화되면 고환율·고물가가 다시 한국 경제를 뒤흔들 것이란 예측이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2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2%로 하향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은 기존 대비 0.1%포인트 낮은 2.0%로 내린 이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추정한 한국의 올해 잠재성장률이 5년 전보다 0.4%포인트 낮은 2.0%인데 트럼프 2기가 시작되는 내년에는 이마저도 간당간당한 것이다.
KDI는 ‘2024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내년에는 민간 소비가 회복되는 등 내수 부진에서 점차 벗어나지만 수출 둔화가 발목을 잡을 것으로 봤다. 올해 7.0%에 달한 수출 증가율(물량 기준)이 내년엔 2.1%로 꺾일 것으로 전망에 따른 것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도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에 보편관세 20%를 물리면 한국 전체 수출액은 448억달러(약 63조원)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KDI는 이 같은 관세 인상 조치가 2026년부터 적용될 것으로 가정했는데 시행시기가 내년으로 앞당겨지면 내년 성장률은 잠재성장률(2%)에 못 미치는 1%대로 추락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미국 공화당의 ‘레드 스위프(대선과 의회선거에서 모두 승리)’ 로 고관세 공세가 예상보다 이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트럼프식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려면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 유지가 급선무다. 정부는 자금 조달 문턱을 낮춰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불필요한 규제로 인한 비용낭비도 감축해야 한다. 물가 안정 기조로 추가 금리인하 여력이 생긴 만큼 기업의 금융비용을 줄여주는 선제적 통화정책도 필요하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