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는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2.1%에서 2%로 낮춰 잡았다. 극심한 내수 부진이 다소 완화돼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으로 내년 수출 증가율이 올해(7%)의 3분의 1 수준으로 낮아져 2.1%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 데 따른 것이다. 우리 경제를 둘러싼 국제 환경은 갈수록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중 패권 경쟁 속에 우리나라는 대중 무역 흑자가 적자 구조로 바뀌었다. 대미 수출 비중을 늘려 21년 만에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을 넘어섰다. 하지만 미국 수출마저 관세장벽에 막힌다면 경제성장 동력이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DI조차 이처럼 경기를 어둡게 보는데 불과 하루 전 기획재정부는 “물가 안정, 고용 확대, 수출 활성화를 통해 글로벌 복합 위기의 충격을 최소화했다”고 자찬했다. 아무리 대통령 임기 반환점을 맞아 국정 홍보 차원에서 긍정적 측면을 부각한 것이라고 해도 “가계 부채, 국가 부채를 연착륙시켰으며 민간 중심 경제 운용으로 경제 활력을 증진했다”는 자체 평가를 한다는 것은 이들의 상황 판단 자체를 의심케 한다.
경제의 근본 해법은 규제를 풀고 혁신 동력을 살리는 것이지만 민주당 벽에 막혀 불가능한 상황이다. 당장 내년에 성장을 끌어올릴 현실적 방안을 찾아야 한다. KDI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하지만 한국은행은 가계 부채, 환율 등을 고려해 적극적인 금리 인하를 주저하고 있다. 정부, 한국은행, KDI가 엇박자를 내지 말고 솔직하게 경제 현실을 진단하고 해법을 마련하기 바란다.
[조선일보]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