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 목표인 2%대 아래로 떨어진 것은 긴축적 통화적정책의 영향이 컸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현안 분석: 최근 물가 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을 발표했다.
분석 결과 통화정책은 재정정책에 비해 물가상승률에 더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가 1%포인트 하락하면, 물가상승률은 3분기 후 최대 0.2%포인트 상승한 후 2년여간 영향이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정부지출이 GDP 대비 1%포인트 증가하면, 물가상승률이 동 분기에 최고 0.2%포인트 오른 후 1년여간 영향이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정책 수요 충격(소득·자산가격 변화 등)의 영향은 1∼2년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 충격(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의한 물가 반응은 상대적으로 지속성이 짧은 것으로 파악됐다.
KDI는 이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변수가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증감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먼저, 2022년 상반기 이후 높은 물가 상승세는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수요 회복(비정책 수요 요인), 확장적 재정정책, 에너지 가격 상승 등 공급 요인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1년 하반기 이후 소비가 회복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점진적으로 확대됐고,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확장적 재정정책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물가 상승률을 끌어올렸다는 것이다. 지난해에는 2022년 중반부터 시행된 기준금리 인상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기 시작했으나, 수요 회복 영향이 유지되면서 비교적 높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된 것으로 KDI는 진단했다.
올해에는 긴축적 통화정책이 유지되면서 물가에 하방 압력이 지속됐고, 수요 회복의 효과가 점차 약화하면서 물가 상승세가 가시적으로 둔화했다고 분석했다.
KDI는 예상치 못한 추가적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물가 상승률 둔화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