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6 (일)

이슈 미국 46대 대통령 바이든

질 바이든 초대에 멜라니아 "선약있다"…美 영부인 회동 불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2021년 지지자들을 상대로 연설을 하는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부인인 멜라니아 여사가 남편의 13일(현지시간) 백악관 방문에 동행하지 않을 전망이다.

11일 CNN은 영부인과 차기 영부인의 상견례가 불발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이전까지 영부인과 차기 영부인의 상견례는 현직 대통령과 차기 대통령 당선인 간 업무 인수인계 등을 위한 백악관 회동에 발맞춰 관례적으로 이뤄졌다.

조 바이든 대통령 부인인 질 바이든 여사의 초청에도 멜라니아 여사는 최근 발간된 자신의 회고록과 관련한 사전 일정을 이유로 응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중앙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과 멜라니아 여사.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처음 대통령에 당선됐을 때인 2016년에는 멜라니아 여사가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 부인인 미셸 오바마 여사의 초대로 백악관을 찾아 티타임을 가졌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승리했던 지난 2020년 대선 때는 현직 대통령과 차기 대통령 당선인 부부 사이의 회동이 열리지 않았다. 당시 대통령이던 트럼프 당선인이 대선 결과에 승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CNN의 취재에 응한 한 소식통은 멜라니아 여사의 13일 백악관 동행 여부가 아직 최종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트럼프 1기 당시 멜라니아 여사는 선거운동 기간에는 물론 백악관 입성 이후에도 다른 영부인들과는 대중 앞에 나서는 일도 드물어 '은둔의 영부인'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또 트럼프 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에도 백악관에 바로 들어가지 않고 아들 교육을 위해 뉴욕에 머물렀다.

이번 대선 캠페인에서도 멜라니아 여사는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지난 7월 공화당 전당대회에서도 멜라니아 여사는 별도 무대 연설을 하지 않았다.

이해준 기자 lee.hayjun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