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8 (일)

"한글로 문화 전승하고 기록해요" NYT, 찌아찌아족 민족 정체성 보전 사례 조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거리·학교·공공 시설 로마자와 한글로 표시

한글로 된 찌아찌아어 사전과 교과서도 발간해

2009년 한글을 도입해 고유문화를 전승해 온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의 사례를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민족 정체성 보전의 성공사례로 집중 조명했다. 4일(현지시간) NYT는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의 언어는 수 세기 동안 구두로 전해져왔다. 이제 부족의 아이들은 한국의 문자인 한글로 이를 쓰는 법을 배우고 있다"며 찌아찌아족의 한글 도입 현장을 소개했다.
아시아경제

2009년 한국 학자들은 찌아찌아어가 음절 위주 언어인 한국어와 발음이 비슷하다는 사실에 착안해 한글 전파를 시도했다. 이후 15년이 지난 현재 찌아찌아족의 아이들은 학교에서 한글로 조상들의 언어를 익히고 있다. [사진=아시아경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중부 부톤섬에 사는 찌아찌아족 주민 9만 3000여명이 사용하는 고유어 '찌아찌아어'는 한글 도입 이전까지는 표기법이 없어 주로 구전되어 내려왔다. 인도네시아에 존재하는 700여개가 넘는 다른 소수민족 언어 대부분이 그렇듯 인도네시아 공식 언어인 바하사 인도네시아어에 차츰 잠식돼 원형을 상실할 처지에 놓여 있었다. 부톤섬 바우바우 지역의 사회학자 라 오데 알리르만은 "언어가 사멸하면, 부족의 정체성과 그 지역의 지혜도 함께 사라지게 된다"고 고유어를 잃었을 때의 위험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2009년 한국 학자들은 찌아찌아어가 음절 위주 언어인 한국어와 발음이 비슷하다는 사실에 착안해 한글 전파를 시도했다. 이후 15년이 지난 현재 찌아찌아족의 아이들은 학교에서 한글로 조상들의 언어를 익히고 있다.

찌아찌아족이 다수 거주하는 바우바우시 소라올리오 마을의 경우 거리와 학교, 공공기관 등의 명칭도 로마 알파벳과 한글로 함께 표기한다. 한글을 받아들여 고유어와 문화를 보전하려는 찌아찌아족의 노력은 한글을 가르칠 교사가 부족해 한때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2020년 한글로 된 찌아찌아어 사전과 교과서를 발간하면서 추진력을 얻은 상황이다.

한글 도입 초기 직접 서울대에서 한글을 배워 현지에 전파한 찌아찌아족 원주민인 아비딘은 NYT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우리의 언어를 보존하기 위해 한글을 빌려왔다"면서 "옛 한글과 현대의 한글을 섞어서 찌아찌아의 것으로 만든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의 민담을 기록함으로써 우리는 우리 지역의 지혜와 조상들의 역사, 우리 기억과 부족의 정체성을 다음 세대에 전수해 간직할 수 있다"고 말했다. NYT는 한국 학계가 그간 여러 차례 문자 체계가 없는 민족에 한글을 전파하려 시도했으나, 성공한 사례는 찌아찌아족이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