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7 (금)

"한라산 백록담까지 도로 내자"…60년 전 실패한 '이 계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케이블카·UAM 등 제주 한라산 교통수단 논의 변천사

1960년대 성판악~백록담 도로 추진했으나 정부가 제동

뉴스1

제주 한라산 백록담(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제공·자료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뉴스1) 고동명 기자 = 최근엔 잠잠하지만 제주에선 '남한 최고봉' 한라산국립공원을 둘러싸고 반세기 넘게 이어진 논쟁거리가 있다. 바로 케이블카다.

케이블카 설치 찬성 측은 노인·장애인 등 여행 약자 등반과 관광산업 등을, 반대 측은 자연보호를 그 이유로 든다.

한라산 케이블카 논란이 처음 도민사회에 등장한 때는 60여 년 전인 지난 1962년이다. 당시 제주도는 한라산 1900m 고지까지 총연장 9.1㎞의 케이블카 사업을 구상했으나 예산 문제로 포기했다.

1968년엔 민간기업이 한라산 케이블카를 추진하다 환경훼손 논란에 사업을 접었다.

1977년엔 정부 차원에서 제주 종합관광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케이블카를 추진했으나 역시 반대 여론을 넘지 못했다.

이후 1990년대, 2000년대 들어서도 한라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있었으나 매번 시도에만 그쳤다. 그만큼 한라산을 보존해야 한다는 도민사회의 의지가 강했단 의미다.

오영훈 제주지사 역시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도심항공교통(UAM)을 대체재로 추진하고 있다.

오 지사는 지난해 도의회 도정질문 출석 당시 한라산 케이블카에 "부정적 견해"라며 "이미 한라산 정상에 헬기 착륙장이 마련돼 있어 UAM이 2025년 상용화하면 백록담 인근까지 등반할 수 있다"고 답했다.

뉴스1

하늘에서 바라본 제주 풍경(자료사진)ⓒ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제주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성산일출봉과 우도, 송악산~가파도~마라도를 잇는 관광형 UAM을 도입할 계획이다.

도는 중장기적으로 한라산 백록담까지 관광할 수 있도록 UAM 운용을 확대하고, 접근이 어려운 도서·산간 지역 물류배송 서비스와 응급환자 긴급 운송까지 다양한 공공분야로 사업을 넓힌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앞서 1960년대엔 한라산 정상 백록담까지 차량이 오갈 수 있는 도로를 만들려는 계획이 있었다고 한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한 '제주신문' 1965년 5월 20일 자 기사를 보면 당시 도는 예산이 뒷받침되면 한라산 차도 개발이 실현성이 있다고 결론 내리고 검토하고 있다고 돼 있다.

성판악(700m 고지)에서 백록담까지 14㎞를 연결하는 이 도로 계획은 기존에 설치돼 있던 도로를 감안할 때 실제 새로 개설하는 도로 길이는 8㎞였다. 그러나 도로 개통이 안 된 지역 중 약 6.5㎞의 일부가 암반 지대여서 공사비가 많이 들어갈 것이란 전망도 나왔었다.

1966년 5월 19일에는 '한라산 등반코스를 10㎞로 단축하는 새로운 도로 공사를 새달 초부터 시작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해당 공사엔 8만 2000명이 투입되고 벌채 면적은 13.4㏊, 잘라내야 할 나무는 9000여 그루의 대규모 공사로 예상됐다.

그러나 제주도의 이 계획은 당시 정부(문교부)의 반대로 무산되고 말았다. 1966년 8월3일 제주신문 기사를 보면 문교부가 도로 공사를 시작하겠다는 보고를 받고 즉각 작업을 중단할 것을 지시했다.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 현상 변경 행위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장관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게 문교부의 입장이었다.

당시 도는 이미 도로 개설 계획을 세우고 농림부로부터 도로 개설 전 국유림 대부 허가까지 받아 첫 삽을 뜨기 직전이었으나, 결국 정부의 반대로 '한라산 드라이브'는 계획으로 끝나고 말았다.

kd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