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지난 30일 서울시내 의과대학 /사진=정병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의과대학 모집정원 증가로 올해 정시 전형을 통해 모집하는 인원도 전년보다 30% 가량 늘었다. 다음달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치르는 수험생들은 대학의 선발군과 지역인재 전형 등에 유의해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게 입시업계의 조언이다.
진학사는 31일 2025학년도 의대 정시 모집 인원(일반전형 기준)이 지난해에 비해 331명 늘어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대입에서는 실제 정시 선발 인원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통상 수시에서 모집 정원을 모두 선발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 인원은 정시로 이월되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의예과 기준으로 약 40명이 정시로 이월됐으나 올해는 수시 지역인재전형의 증가로 인해 이월 규모가 더 클 것이라는 관측이다.
특히 지역인재전형에서 이런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2025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증가하는 331명은 일반전형 192명, 지역인재전형 139명이다. 수시 일반전형과 지역인재전형을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지역인재전형의 이월 인원이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올해 정시에서 지역인재 전형을 신설하는 학교는 강원대와 경북대, 계명대 등인데 경북대와 계명대가 위치한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지역인재 선발 인원이 작년 17명에서 올해 50명으로 거의 3배 가까이 증가해 입시 결과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진학사는 내다봤다.
군 배치 변경에 따른 지원 패턴 변화도 눈여겨봐야 한다. 올해는 인하대 의대가 '다'군에서 '가'군으로 선발 군을 변경하고 조선대와 충남대는 '가'군에서 '나'군으로 선발 군을 바꾼다. 진학사는 인하대의 군 배치 변경은 입시결과에 큰 변화를 가지고 올 수 있다고 예상했다. 지난해 인하대 의대의 충원율은 무려 1700%로 매우 높았지만 가군으로 이동하면서 이와 같은 충원율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또 인하대의 군 배치 변화는 '다'군에 남아 있는 다른 대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군에서 인하대 대신 선택할 수 있는 순천향대 의대의 충원율은 과거에 비해 크게 상승할 수 있다.
모집인원 변화에 따른 변화도 주의해야 한다. 성균관대와 아주대는 올해 정시에서 각각 50명을 선발하는데, 이는 작년에 비해 5배 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이로 인해 학생들의 지원 패턴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난 대입에서 성균관대에 지원했던 수험생들이 동시에 많이 지원한 대학은 '나'군의 경희대와 '다'군의 인하대였다. '나'군에는 서울대 의예과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비교적 모집 인원이 많았던 가톨릭대나 연세대에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성균관대 의대의 모집 인원이 늘어나면서 '나'군의 서울대와 동시 지원하는 수험생이 많아질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해 충원 인원이 과거에 비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또 경희대와 동시에 지원하는 학생도 역시 늘어날 경우 경희대의 충원 인원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번 대입의 또 다른 변화는 수능 지정 과목을 폐지한 대학들이 늘어났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확률과 통계나 사회탐구를 선택한 학생들이 의대에 지원할 수 없는 대학이 대부분이었으나, 올해는 이를 허용하는 대학들이 증가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은 수학이나 과탐에 가산점을 주기 때문에, 확통이나 사탐을 선택한 수험생들의 합격은 여전히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게 입시업계의 시각이다. 단국대(천안), 성균관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는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을 조정하는 등의 변화도 있기 때문에 각 대학별로 과거와 달라진 선발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의대 정시는 매우 작은 차이로 합격과 불합격이 나뉘기 때문에 수험생들은 각 대학별 전형 변화를 꼼꼼히 확인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성균관대나 인하대처럼 군 배치가 변경되거나 모집 인원이 늘어난 대학들은 충원율과 지원 패턴에 따라 입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