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위험 예측에 체성분 변화가 큰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체지방량이 늘어날수록 치매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근육량이 증가하면 치매 위험은 줄었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은 한국인 1천300만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에 기반에 체중만 관리하는 것보다는 체성분, 특히 근육량과 지방량을 함께 관리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민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연구교수와 박상민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매와 체성분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성별과 연령에 따른 근육량과 지방량 변화가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하게 분석해 보다 정확한 치매 위험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체지방은 치매 위험 높이고, 근육은 줄여줘
비만이 치매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었다. 다만 체질량지수(BMI)로만 비만을 측정하면 근육과 지방을 구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지방과 근육량을 포함한 체성분을 고려해 치매 위험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했다. 연구는 2009∼2010년 1차 검진과 2011∼2012년 2차 검진을 받은 치매 병력이 없는 성인 약 1천321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팀은 예측 방정식을 통해 제지방량(pLBMI), 사지근육량(pASMI), 체지방량(pBFMI)을 산출하고, 두 차례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비교해 각 지표의 변화를 측정한 후, 근육량과 지방량이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약 8년간 추적했다.
체성분 변화에 따른 치매 발생 위험도: 제지방량과 사지근육량의 증가는 치매 위험을 감소시키고, 체지방량의 증가는 치매 위험을 높이는 경향을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보여줌. 서울대병원 제공 |
제지방량은 체중에서 지방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과 체액 등, 신체를 이루는 구성 요소를 뜻한다. 사지 근육량은 팔과 다리, 즉 사지 부위의 근육량을 뜻하며, 움직임과 관련된 주요 근육이 얼마나 있는 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반면 체지방량은 몸 전체에서 차지하는 지방의 양을 의미하며, 특히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을 포함한다.
분석 결과, 제지방량이나 사지근육량이 증가할수록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치매 발생 위험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남성은 제지방량이 1㎏/㎡ 증가할 때 치매 위험이 15% 감소했고, 여성은 31%까지 감소했다. 또한 사지근육량이 1㎏/㎡ 증가하면 남성은 30%, 여성은 41% 치매 위험이 줄어들었다.
반대로 체지방량이 1㎏/㎡ 늘어나면 남성의 치매 위험은 19%, 여성은 무려 53%까지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연령, 성별, 기존 체중이나 체중 변화와 상관없이 모든 그룹에서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특히 60세 미만의 젊은 층에서는 근육량과 지방량의 변화가 치매 위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체성분 관리, 치매 예방의 필수 요소
이번 연구는 대규모 전국 단위로 체성분 변화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첫 사례다. 연구를 주도한 박상민 교수는 "단순히 체중만 줄이는 것이 아니라 근육량 증가와 지방량 감소가 치매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치매 예방에 체성분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성민 연구교수는 "젊은 시기부터 체성분을 관리하는 것이 노년기 치매 예방에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며 체성분 관리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신경과학회 학술지 ‘임상 및 중개신경학회지(Annals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Neurology)’에 게재됐다.
윤은숙 기자 sugi@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