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장성 파견 움직임에 공동 대응
젤렌스키 "韓에 조만간 특사파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최전선인 쿠르스크에 북한군이 모여들고 있다. 파병 북한군이 예상보다 빠르게 전선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 대통령과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12월 전 1만명 전선배치 전망
국가정보원은 29일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고위급 군 장성을 포함한 병력이 전선으로 이동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최근 미국 국방부가 북한군 1만여명이 이미 러시아에 도착해 전선 가까이 이동했다고 밝힌 데 이어 국정원도 병력이동 정황을 정보위에 보고한 것이다. 이에 전문가 사이에선 당초 예상됐던 12월 전에 북한군이 전투에 투입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눈에 띄는 점은 북한군 장성이 파견됐다는 것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측근 중 한 명인 김영복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으로 파악된다. 이는 홍장원 국정원 1차장이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에 북한군 파병 정보 브리핑 이후 확인한 바다.
전문가들은 김영복을 러시아군 지휘부와 현지에서 협의하는 채널로 보고 있다. 파병된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호흡을 맞춰 원활하게 운용되도록 하는 역할이라는 것이다. 이는 북한군 전투 투입이 임박했다는 정황으로 읽힌다.
이런 가운데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이날 러시아를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관은 지난 6월 북러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전략적 대화'의 일환이라는 설명인데, 파병의 반대급부가 논의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경제적 지원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핵추진잠수함 등 첨단무기 기술이전 등이 예상된다.
국정원은 정보위에 최선희 방러를 두고 "고위급 채널을 통한 추가 파병과 반대급부 등 후속 협의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고, 통일부 당국자는 "러시아 파병 관련해 세부대응을 조율할 가능성이 있다. 1월에는 외무장관 초청이라고 밝혔는데 이번에는 그런 게 없다. 북한군 파병 상황이 빠르게 전개되는 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尹-젤렌스키, 공동 대응키로
이처럼 북한군 파병 사태가 빠르게 진행되자 윤 대통령은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를 위해 조만간 우리나라에 특사를 파견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나토와 유럽연합(EU), 우크라에 정보공유를 위한 대표단을 급파한 것을 언급하며 "러북 군사적 야합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앞으로의 전장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실효적인 단계적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민감 군사기술을 이전할 가능성도 문제지만, 6·25전쟁 이후 현대전을 치러보지 않은 북한이 우크라전에서 얻은 경험을 100만명이 넘는 북한군 전체에 습득시키면 우리 안보에 커다란 위협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윤 대통령은 우크라 포함 국제사회와의 대응 공조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전날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연이어 통화해 대응방안을 협의하면서다. 윤 대통령은 이들에게 북한군의 전선 배치가 빨라지고 있다면서 대응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국제사회와의 공조와 별개로 자체적으로는 우크라 정부와 협의를 거쳐 군과 국정원이 참여하는 모니터링단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모니터링단은 전장에서 선전과 원조를 이용, 북한군 대규모 탈영을 유도하는 선무공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대통령실이 앞서 검토 가능성을 언급했던 방어용·공격용 무기 지원이 쉽지 않은 만큼 먼저 내놓는 조치로 보인다. 특히 공격용 무기 지원은 우크라 전쟁을 확전시킬 위험이 있어서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