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중인 김지연 KDI 전망총괄 <사진제공=KDI>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DI 현안분석
숙박음식업·도소매업 고용 줄고 운수업은 늘어
“도·소매업 온라인 판로 확대 지원 필요”
숙박음식업·도소매업 고용 줄고 운수업은 늘어
“도·소매업 온라인 판로 확대 지원 필요”
온라인 쇼핑이 급팽창하는 과정에서 소비자물가 안정에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숙박·음식점업 등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한 업종의 고용을 일부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이런 내용이 포함된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다.
근년간 상품소비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바뀐 소비행태가 물가와 고용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는 실증분석한 것이다. 온라인쇼핑 상품 거래액은 2017년 전체 소매판매액의 14%였지만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쳐 급성장하며 지난 2분기 기준 27%까지 상승했다.
분석 결과, 특정 상품에 대한 온라인 소비비중이 1%포인트 오르면 그해 상품물가는 0.0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를 토대로 2017~2024년 온라인 소비비중 증가추세를 반영해 전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추산했다. 그 결과 같은 기간동안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1%가량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온라인 소비확대는 고용에는 악영향을 줬다. 온라인 소비와 밀접한 도소매업, 숙박·음식업, 운수·창고업의 취업자수의 증감과 온라인 소비확대간 관계를 분석해보니 온라인 소비가 확대되는 충격이 발생하고 1~2분기후 영향이 극대화되고 1~2년 후에는 영향을 사라졌다.
숙박·음식점업은 온라인 소비 비중이 1%포인트 늘면 2분기 후 취업자수가 최대 2만7000명 줄었다. 이런 효과는 2년가량 이어졌다. 도소매업 역시 비슷한 고용 감소 효과가 발견됐지만 영향은 단기에 그쳤다.
운수·창고업에선 반대로 고용이 늘어났다. 온라인 소배가 1%포인트 늘면 1만7000명이 더 취업한 것이다. 김지연 KDI 전망총괄은 전자상거래 기술 발전과 온라인 소비 확대로 인한 경쟁 촉진의 결과 발생하고 있는 물가안정 효과가 관련 산업의 독과점화로 저해되지 않도록 시장 여건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며 “ 반면 노동시장에서는 고용 간, 업종 간 고용 조정을 촉발하고 있어 이에 대응한 경제·사회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