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부동산 '줄폐업' 아우성인데…공인중개사 시험에 2030 몰리는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장수영 기자 = 전세사기 등 세입자 보호 강화를 위한 '공인중개사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이 시행된 10일 서울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 밀집 지역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공인중개사는 이날부터 임대인이 제출하거나 열람에 동의한 확정일자 부여 현황과 국세·지방세 체납 정보를 계약하려는 세입자에게 설명하고, 이를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에 명기해야 한다. 2024.7.1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장수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틀 앞으로 다가온 제35회 공인중개사 시험 신청자가 지난해보다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공인중개사에 대한 인기도 시들해지고 있지만 이른바 '영끌사태'를 겪은 2030세대의 관심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오는 26일 치러지는 제35회 공인중개사 시험 신청자는 총 21만5801명이다. 지난해 최종 신청자(28만7747명)보다 7만2666명 감소했다.

빈자리 추가 접수자와 응시 포기자 등을 포함하면 실제 응시자 수는 다소 차이 날 수 있지만 지난해보다 적은 인원이 시험을 치를 전망이다. 또한 공단이 집계한 올해 접수자 수는 1·2차 동시 접수자 6만382명을 합한 수치로, 중복을 제외한 실제 인원은 15만4699명에 불과하다. 지난해 1·2차 중복접수를 제외한 실제 인원은 20만59명이었다.

공인중개사 시험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버금가는 인기를 누리던 3년 전과 전혀 다른 분위기다. 2021년 집값 폭등기 당시 치러진 제32회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자는 40만8492명(1·2차 중복 포함)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2020년 수능 응시자(49만3434명)에 육박하는 수다. 그러나 이듬해인 2022년 38만7705명, 지난해는 29만2939명으로 응시자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 응시자 수는 줄고 있지만 2030 세대의 관심은 여전히 높다. 올해 시험 신청자 중 20~30대 응시자는 총 7만6192명으로 전체 응시자의 35%다. 특히 1차 시험에 도전하는 30대는 3만4749명으로 40대(4만2993)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역대 최다 응시자를 기록했던 32회 공인중개사 시험에서 20~30대 비율은 39%였다. 당시 청년층의 응시는 취업난의 대안으로 해석됐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 불황이 이어지는 반면 집값 폭등으로 부동산 시장은 활황을 띄다 보니 청년들이 취업 대신 상대적으로 문턱이 낮은 공인중개사 자격증 시험에 뛰어들었단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2030은 개업과 별개로 시험을 준비하는 분위기다. 취업, 결혼 등으로 주택 계약이 필요해지고 같은 세대의 '영끌' 사태를 겪으면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과 공부의 필요성을 느껴서다.

올해 초부터 시험 준비를 시작한 김모씨(31)는 "관련 업계에 종사하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지만 자기개발 차원으로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며 "우리 생활과 가장 밀접한 분야인데도 불구하고 시시각각 바뀌는 부동산 정책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 시험을 준비하면서 시장을 알아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줄면서 틈새시장을 노리는 이들도 있다. 직장인 이모씨(38)는 "올해 결혼을 준비하면서 부동산을 매수했는데 그 과정이 재밌기도 하고 부동산 가격이 오를 가능성도 높아 보여 미리 자격증을 따 놓으면 언젠가 쓸모가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며 "최근 부동산 시장에 관심이 덜한 시기니까 비교적 수월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에 올해 시험에 응시했다"고 말했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정년은 빨라지고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올라가는 상황 속에서 집값 폭등기를 겪으면서 부동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지 막막한 2030들이 전문자격 시험까지 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만들어진 걸로 보인다"며 "2030이 개업을 하지는 않는다고 해도 은퇴 후 보험을 들어놓는다는 마음으로 도전들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효정 기자 hyojhy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