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3 (수)

의료공백 사태로 권역외상센터 '수술 불가' 늘고, 닥터헬기 이송환자 줄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상기 기자]
라포르시안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라포르시안] 의정 갈등으로 인한 전공의 집단사직과 그에 따른 의료공백이 10개월 째에 접어들었다. 정부는 비상진료대책 추진으로 응급의료 등에서 의료공백이 없다는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지만 의료현장에서 정부가 상황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의료공백 장기화에 따른 피로도가 누적되면서 이미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을 중심으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특히 중증외상환자를 병원 도착 즉시 응급수술․치료를 하는 역할을 맡은 권역외상센터에서 외상환자에 대한 응급 수술․처치를 하지 못해 전원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희승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권역외상센터 전원 사유 중 '응급 수술·처치 불가 또는 전문 응급의료 요한다'는 비중이 41.8%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9년 7.1%와 비교해 5.9배 증가한 수치다.

권역외상센터란 응급실에서의 처치 범위를 넘어서는 중증외상환자가 병원 도착 즉시 응급수술 및 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시설·장비·인력을 갖춘 외상전용 치료센터로 올해 기준 총 17개소를 선정․지정하고 있다. 정부는 외상진료, 권역외상센터 설치·운영, 전담전문의 충원을 위해 각종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충북대, 원광대, 아주대, 의정부성모병원은 전원환자 모두가 '응급 수술·처치 불가 또는 전문 응급의료 요한다'는 이유였다. 국립중앙의료원(91.7%), 가천대길병원(83.3%), 목포한국병원(50.0%), 제주한라병원(50.0%)의 경우 절반을 넘겼다.

올해 8월 권역외상센터 전담전문의 충원 비율은 90.0%였다. 특히 아주대병원과 길병원은 충원율이 100.0%였음에도 불구하고 '응급 수술·처치 불가 또는 전문 응급의료 요한다'는 이유로 모두 전원시켰다.

이처럼 권역외상센터에서 응급 수술․처치를 하지 못해 전원하는 사례가 증가한 데에는 의·정 갈등으로 인한 의료공백도 무관하지 않다.

실제로 지난 2월 말 전공의 집단 사직이 발생한 이후 권역외상센터는 초기 응급처치부터 최종 진료까지 모두 전문의들이 담당하고 당직까지 전담하면서 번아웃 상태에 빠졌다. 이미 일부 권역외상센터는 의료진 이탈로 턱없이 부족한 외상 전담전문의를 두고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다 보니 권역외상센터에서도 환자를 입원시키기 힘들어 전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박희승 의원은 "정부가 권역외상센터를 늘리고 있지만 이 중 상당수가 응급수술·처치를 못해 환자를 전원시키고 있는 점은 큰 문제"라며 "권역외상센터에서의 적시 치료는 환자의 생사와 직접 연결된다. 양적 확대뿐 아니라 권역외상센터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고 실태를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포르시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펀 의료대란으로 응급의료 전용헬기(닥터헬기) 이송환자 수가 감소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선민 의원(조국혁신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응급의료 전용헬기 지역별 출동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3분기 동안 응급의료 전용헬기로 이송한 환자는 879명이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1,171명에 비해 292명(25%) 감소한 수치다.

지역별로 보면 응급의료 전용헬기 이송환자는 차이를 보였다. 경북( 30명, +14%), 경기(21명, +7%), 제주( 14명, +66%)는 이송환자수가 증가한 반면 강원(142명, -83%), 충남(91명, -81%), 전북(66명, -66%), 인천( 37명, -46%), 전남(21명, -11%)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질병유형별(각년도 1월~6월)로 확인해 본 결과, 웅급의료 전용헬기 이송환자 중 급성심근경색은 2023년 82명에서 2024년 38명으로 급성뇌졸증은 2023년 88명에서 2024년 59명으로 중증 외상은 2023년 311명에서 2024년 273명으로 기타응급질환은 2024년 314명에서 216명으로 줄었다.

김선민 의원은 "작년에 응급의료 전용헬기 이송환자가 많이 발생한 것도 아닌데 올해 25% 정도 감소한 것은 치료를 받아야할 응급 환자들이 제때 응급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한다"며 "특히 일부 지역에서 나타난 이송환자 수 감소폭은 지방응급의료가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의원은 "보건복지부는 무리한 의대증원 정책실패로 인한 의료대란에 대해 국민들께 사과하고, 신속하게 의료계와 협의해 의료대란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