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2 (화)

이중근 노인회장 취임 "노인 연령 65→75세 단계적으로 올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제19대 대한노인회장에 취임했다. 이 회장은 저출생·고령화 문제 해결 방안으로 노인 연령을 현행 65세에서 75세까지 단계적으로 올리자고 정부에 공식 제안했다.

이중근 회장은 2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노인 문제 해결과 대한노인회 발전을 위한 4가지 청사진을 내놨다. ▶노인 연령 상향 조정 ▶재가(在家) 임종 제도 추진 ▶인구부 신설 ▶대한노인회 중앙회관 건립·봉사자 지원 등이다.

중앙일보

한덕수 국무총리(앞줄 오른쪽 넷째), 이중근 대한노인회장(앞줄 오른쪽 다섯째) 등 참석자들이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9대 대한노인회 이중근 회장 취임식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노인 연령의 단계적 상향을 제일 먼저 내세웠다. 이 회장은 "현재 노인 인구는 1000만명이지만 2050년에는 2000만명이다. (2050년) 나머지 인구 3000만명 중 20세 이하 1000만명을 뺄 경우, 남은 중추 인구 2000만명이 2000만 노인 복지에 치중하면 생산 인구가 없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노인 인구 관리를 위해 65세인 노인 연령을 연간 1년씩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해 75세 정도로 높이는 걸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2050년 노인 수가 1200만명 정도로 유지될 거라고 내다봤다.

그러려면 정년 연장, 임금 피크제 등이 같이 따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인이 생산인구로 남아있으면 노인 부양·연금을 비롯한 여러 초고령화 문제를 푸는 데 도움이 될 거란 분석이다.

이 회장은 "65세 중에 '나 노인이다' 하는 분은 거의 없을 것"이라면서 "노인 연령 상향 속에 정년 연장, 임금 피크제가 되면 노인들이 생산직에 참여하면서 사회적 완충 역할을 할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에서 정년 연장 제도를 도입한다면, 정년 연장 첫해(65세)에는 정년 피크 임금의 40%를 받고, 10년 후인 75세에도 20% 정도를 받도록 해 생산 잔류기간을 10년 연장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 회장은 "정부가 노인 복지 예산 등으로 30조∼40조원을 쓰는데, 이 비용을 직접비로 처리하면 (노인을) 10년간 무리 없이 지원할 수 있다는 셈법이 나왔다"며 "부영 직원들도 10년 더 보장할 수 있다면 저도 그렇게 할 생각이다. 정부와 협조가 잘 됐으면 하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노인회의 노인 연령 상향 움직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이심 전 회장은 지난 2015년, 노인 연령을 70세로 높이자는 공론화 논의를 제안한 바 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이중근 회장은 노인이 살던 집에서 생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재가 임종 제도'를 추진하겠다고도 밝혔다. 이 회장은 "현재 요양원에서 쓸쓸히 임종을 맞이하는 분들이 많다"면서 "요양원 예산 지원과 재가 도우미 지원 등을 병행해 노인들이 집에서 사랑하는 가족들의 손을 잡고 임종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중근 회장은 출생 지원·노인 복지를 위한 '인구부' 신설도 제안했다. 앞서 지난 2월 이 회장은 부영 직원들에게 자녀당 1억원을 지급하는 파격적인 출산 장려책을 시행했다. 이 회장은 "헌법상 국가 안전 보장과 질서 유지를 위해선 인구가 있어야 하는데 (한시가) 급한 상황이다. 그래서 출산 장려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지난 8월 선거에서 대한노인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4년이다. 지난 17대 회장직을 역임한 데 이어 두 번째로 회장 업무를 맡게 됐다. 이 회장은 "노인들이 후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장대하다"면서 "후손들을 생각하는 단체로 대한노인회를 육성하고 국가에 기여했으면 좋겠다 해서 다시 회장이 됐다"고 밝혔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