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사 10곳, 금융당국에 반대의견서 제출
"보험부채 높여 재무건전성 악화…실제 현장과도 배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주요 10개 손보사(삼성·DB·현대·KB·한화·롯데·NH·흥국·하나·MG)는 최근 당국에 무·저해지 해지율 개편안을 반대하는 공동의견서를 제출했다. 당국의 제도개편안에 보험사가 단체로 의견서를 낸 건 이례적이다.
무·저해지 보험은 보험료가 저렴한 대신 중도해지 시엔 계약자에게 돌아가는 환급금이 없거나 적은 상품이다. 손보사들이 2016년부터 값싼 보험료를 전면에 내세워 집중적으로 판매해왔다. 문제가 된 건 지난해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도입되면서다. IFRS17 체제에서 보험사 실적으로 보험계약마진(CSM)이 중요해지자 보험사가 이 상품의 해지율을 자의적·낙관적으로 가정해 CSM을 부풀렸다는 논란이 일었다.
당국이 제시한 개편안은 '로그-선형 모형'이다.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을 산정할 때 보험계약 4~5년 차까지는 보험사 경험통계를 반영하고 이후 기간은 로그-선형 예측모형을 적용하는 식이다. 이렇게 되면 경험통계 반영이 끝나고 예측모형이 적용되는 구간에 급격한 해지율 하락이 생긴다. 해지율이 낮아지면 보험사는 그만큼 미래에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보험금이 늘어난다. 이는 보험부채를 키우고 가용자본 감소에 따른 지급여력비율 하락 등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이 제시한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개편안 관련 '로그-선형 예측모형'. |
손해보험업권이 제시한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개편안 관련 '선형-로그 예측모형'의 예시. |
손보사들은 당국이 제시한 모형이 실제 현장에서 벌어지는 승환계약(보험 갈아타기)을 고려하지 않고 해지율을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가정했다고 주장한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업계가 개선해야 할 부분이지만 사실 무·저해지보험은 영업현장에서 보장성 강화 등의 이유로 부당승환이 자주 발생한다"면서 "그래서 전체 보험계약 기간에 대해 높은 해지율을 적절히 가정하는 게 현실적"이라고 설명했다. 가정과 실제가 일치하지 않으면 예실차(예상보험금과 실제 발생보험금 간의 차이)가 커지고 재무제표의 신뢰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다.
손보업계가 제시하는 건 '선형-로그 모형'이다. 이는 당국 개편안과 달리 보험계약 5년 차부터 급격한 해지율 감소가 나타나지 않고 완만하게 우하향하는 형태다. 보험계약 연차가 늘어날수록 해지율이 0에 근접하는 속도가 더 늦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당국 개편안은 이익 부풀리기 주범으로 지목된 CSM에 대한 영향은 적고 지급여력비율 악화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면서 "모형이 현실적이지 않고 IFRS17의 최선추정 원칙과 배치된다는 점에 업계 전반의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당국은 개편안과 관련해 국내외 통계에 기반해 적합도가 높은 예측모형을 산출했으나 아직 확정된 건 아니라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아직 IFRS17 개선안과 관련한 영향평가도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추후 보험개혁회의 등을 통해 논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