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5 (화)

윤 대통령, 제주 끝으로 지역 민생토론 마침표…다시 정책 고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월 부산 시작으로 전국 돌며 지역 현안 챙겨

주민 소통·협치 등 순기능…총선 전 관권선거 비판도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5일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첨단기술과 문화로 미래를 디자인하는 광주'를 주제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9.5/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제주를 끝으로 8개월 만에 전국 순회 민생토론회에 마침표를 찍었다.

대통령실은 지역 현안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민생토론에는 마침표를 찍고 다시 정책 주제별로 개최되는 민생토론회로 넘어간다는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에서 '세계로 열린 청정한 섬, 글로벌 휴양도시 제주'를 주제로 29번째 민생토론회를 주재했다.

윤 대통령이 제주까지 방문하면서 전국 모든 지역에서 민생토론회가 열리게 됐다.

대통령실은 올해 들어 새로운 정부 업무보고 방식으로 민생토론회를 도입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라는 콘셉트로 지난 1월 4일 처음 열린 행사는 각 부처 업무보고 이외에도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민생토론회는 크게 주요 정책을 다루는 '정책 민생토론'과 전국 각 지역 현안을 챙기는 '지역 민생토론'으로 나눠서 열렸다.

지역 민생토론은 지난 2월 부산을 시작으로 대전·울산·경남·충남·대구·인천·강원·전남·서울·경기(용인)·충북·경북·전북·광주·제주 순으로 개최됐다.

마지막 지역인 제주까지 약 8개월에 걸친 여정 끝에 전국을 한 바퀴 돌았다.

당초 대통령실은 10여 회 분량으로 민생토론회를 기획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국민을 포함해 주요 현안과 관련된 이해관계자가 대거 참석해 대통령 앞에서 목소리를 내고, 장차관뿐 아니라 각 부처 실무자가 직접 나와서 답변하는 방식이 호평을 받으며 대통령실을 대표하는 정규 행사로 발전했다.

대통령실은 내부적으로 지역 민생토론회로 지역 민생 이슈를 정책으로 구현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역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지역민 애로사항과 지역 현안에 관해 직접 소통하며 해결방안을 제시했다"며 "특히 지자체 주민과 직접 소통하는 과정에서 속도감 있게 정책 수립과 집행을 지시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제주 민생토론에서도 크루즈선을 통한 해외 관광객 입국과 관련해 직접 법무부 당국자를 찾으며 "출입국심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 방안이 있나"라고 물었다. 제주 상급종합병원 지정 문제를 두고는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임기 안에 상급종합병원을 지정해 달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여소야대로 대통령실과 야당이 극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민생토론회가 협치를 위한 장이 됐다는 목소리도 있다.

윤 대통령은 오영훈 제주도지사를 비롯해 강기정 광주시장, 김관영 전북도지사, 김영록 전남도지사 등 민주당 소속 단체장을 만났을 때도 지역 숙원사업 추진을 위한 중앙정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께서 전국 시·도지사가 모두 모이는 중앙지방협력회의를 할 때도 여야를 가리지 않고 모든 단체장 목소리를 다 들으신다"고 말했다.

우여곡절도 적지 않았다.

지난 4월 총선을 앞두고 야당에서는 대통령이 표심을 챙기려고 전국을 돌아다닌다며 '관권선거' 논란이 일었다. 대통령이 재정 지원이 필요한 지역 숙원사업을 연달아 건드리면서 포퓰리즘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대통령실은 3월 말 24번째 민생토론을 마치고 행사를 열지 않았으며, 선거가 끝난 이후 5월부터 시즌2를 표방하며 민생토론을 다시 가동시켰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역 이슈를 중심으로 하는 민생토론은 제주까지로 마무리하고 정책 주제별 민생토론은 계속된다"며 "주제별 민생토론이 추가로 지역에서 열릴 수 있다"고 했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