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2 (일)

'국가간 불평등'에 주목한 노벨경제학상(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제학상에 아제모을루·존슨·로빈슨 3인

국가간 격차 배경 및 사회 제도 중요성 연구

아시아경제

'국가간 번영의 차이' 연구로 202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아제모을루 등 3인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노벨 경제학상은 국가 간 격차가 벌어진 배경과 사회 제도의 중요성을 연구한 다론 아제모을루, 사이먼 존슨, 제임스 로빈슨 등 3인이 받았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14일(현지시간) 이 같은 수상 결과를 발표했다. 아제모을루는 튀르키예(터키) 태생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다. 영국에서 태어나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 출신인 존슨도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시카고대 교수인 로빈슨도 영국 출신이다.

야코브 스벤손 왕립과학원 경제과학상 선정위원장은 "국가 간의 막대한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은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라며 "수상자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제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수상자들은 국가가 번영하는 데 정치와 사회적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연구를 이어왔다. 아제모을루와 로빈슨 교수가 쓴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에서도 이 같은 부분을 집중 조명했다. 유럽 열강들이 전 세계 여러 지역을 식민지화하면서 그 사회의 제도를 바꾸었고, 그것이 장기적으로 국가의 번영을 좌우했다고 분석했다. 어떤 곳에서는 식민지 개척자들의 이익을 위해 원주민을 착취하고 자원을 채취하기 위한 제도가 뿌리내렸고, 또 다른 곳에서는 유럽 이주민의 장기적인 이익을 위해 상대적으로 포용적인 정치 구조와 경제 체제를 구축했다. 이 과정에서 격차가 벌어졌다는 설명이다.

왕립과학원은 "법치주의가 취약하고 인구를 착취하는 제도가 있는 사회는 성장이나 더 나은 변화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수상자들의 연구는 그 이해를 돕게 했다"며 "제도가 번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들의 통찰은 민주주의와 포용적 제도를 이어가려는 노력이 경제 발전에도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노벨 경제학상은 1901년부터 시상된 다른 5개 부문과 달리 1969년부터 수여됐다. 노벨 경제학상이라는 통칭과 달리 정식 명칭은 '알프레드 노벨을 기념하는 경제과학 분야의 스웨덴 중앙은행상'이다. 스웨덴 중앙은행이 창립 300주년을 맞아 제정한 상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스웨덴 발명가 알프레드 노벨의 뜻에 따라 인류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이들을 꼽는 노벨상은 지난 7일 생리의학상부터 이날 경제학상까지 올해 수상자 발표를 모두 마쳤다.

지난 7일에는 마이크로RNA 발견에 기여한 미국 생물학자 빅터 앰브로스와 게리 러브컨이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8일에는 인공지능(AI) 머신러닝(기계학습)의 기초를 확립한 존 홉필드와 제프리 힌턴이 물리학상을 받았다. 9일 화학상은 미국 생화학자 데이비드 베이커와 구글의 AI 기업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와 존 점퍼 연구원이 받았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0일 문학상의 주인공은 우리나라 소설가 한강이었다. 한국 최초, 아시아 여성 최초로 이 상을 받았다. 11일 평화상은 반핵 운동을 펼친 원폭 생존자 단체 일본 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의 몫이 됐다.

한편 노벨상 시상식은 노벨의 기일인 오는 12월10일에 열린다. 물리학·화학·생리의학·문학·경제학상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평화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수여된다. 수상자는 메달과 상금 1100만스웨덴 크로나(14억3550만원)를 받는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