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30대 주식 팔고 4050 부동산 팔아 ‘주택 갈아타기’…갭투자는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서울 잠실 일대 아파트 단지.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들어 기존에 갖고 있던 부동산과 주식을 팔아 매입 자금을 마련한 주택 매수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금을 받아 집값을 충당하는 갭투자는 상대적으로 줄었다.



14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주택 자금조달계획서상 자금조달 방법별 구분’ 자료를 보면 올해 1~8월 전국 주택 매수자(계약일 기준) 중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한 8만969명 가운데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57.9%였다. 이 비율은 2022년 27.0%에서 지난해 55.5%로 대폭 늘었고, 올해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 처분은 대부분 기존 주택 매각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이른바 ‘갈아타기’가 늘었다고 볼 수 있다.



자금조달계획서는 주택 매수자가 주택을 취득할 때 사용할 자금의 출처와 조달 방법을 신고하는 서류다. 비규제지역에선 주택 가액 6억원 이상, 규제지역인 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에선 모든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마련했다고 신고한 40~50대 비율은 2022년 29.2%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58.6%, 올해 1~8월 62.3%로 높아졌다. 20~30대에서 이 비율은 2022년 20.8%에서 올해 49.9%로 늘었다. 또 ‘주식·채권 매각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2022년 4%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6.3%, 올해 1~8월 13.8%로 급증했다. 주식을 팔아 집을 산 20~30대는 2022년 5.9%에서 2년 새 17.0%로 3배 가까이 늘었고 40~50대 역시 이 비율이 3.4%에서 12.9%로 뛰었다.



반면 갭투자 비율은 낮아졌다. 자금조달계획서상 임대보증금을 승계해 주택을 구입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올해 1~8월 36.8%다. 2022년 44.6%에서 지난해 35.8% 수준으로 떨어졌다가 소폭 상승했다.



이전 집값 상승기 때보다 대출 규제가 완화되면서 금융기관 대출액으로 매입 자금을 조달했다는 비율이 증가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자금 출처에 ‘금융기관 대출액’을 신고한 주택 매입자는 2022년 41.8%에서 올해 1~8월 65.7%로 증가했다. 30대의 경우 81.8%가 대출이 자금 출처라고 신고했고, 40대 73.8%, 20대 60.5%, 50대 56.0%였다.



박원갑 케이비(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올해 집값 상승기에는 전반적으로 갭투자보다 갈아타기 주택 매수가 늘어난 가운데 특히 30~40대가 가용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주식까지 처분한 게 눈길을 끈다”고 말했다.



최종훈 선임기자 cjhoon@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