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이 11일 기준금리를 3.50%에서 3.25%로 0.25%포인트(P) 낮췄지만,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 4개월여간 꾸준히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주담대 고정(혼합형) 금리는 6월 말 연 2.94~4.95%에서 11일 연 3.81~5.73%로 올랐다. 변동금리도 3.74~5.96%에서 4.71~6.5%로 상승했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 정책으로 은행이 가산금리를 높였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달부터 2단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해 규제 강도를 높이자 최근 집값과 가계빚 증가세가 주춤했다. 정부는 전세·정책 대출과 제2금융권 대출에도 DSR 규제 확대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대출금리가 높고 DSR 규제가 강화되면 고소득자·고자산가일수록 돈을 빌리기 쉽다. 14일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신용점수 840점 이상의 고신용자 가계대출 잔액은 총 1458조원으로, 중신용자(665~839점)의 330조원이나 저신용자(664점 이하)의 69조원보다 훨씬 많았다. 집값상승 기대가 높으면 이 돈이 부동산시장으로 흘러가는 건 당연한 이치다. 충분한 주택공급이 이뤄져야 집값이 안정되고 자금을 생산적 부문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번 정부 임기 2년간 전국 주택 인허가는 전 정부 때의 수치를 밑돈다고 한다. 또 지난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인허가를 내준 공공분양단지 10곳 중 6곳이 착공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어떤 대출이든 자기능력에 맞게 돈을 빌리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전적으로 옳은 말이다. 그런데 집이 필요한 사람에겐 주택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고, 여윳돈은 생산적 부문으로 투자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게 정책의 목표이기도 하다. 정책의 ‘미스매칭’으로 양극화가 심화되지 않도록 계층별 수요를 고려한 정교한 부동산·대출 대책이 필요하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