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7 (화)

전문가들 "연내 추가 금리인하 어렵다…내년 말 2%대 중후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25%로 0.25%p 인하…3년여만의 긴축→완화

"3개월 내 금리 인하 없다" 이구동성…내년 1~2월 추가 인하 전망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결정에 관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2024.10.11/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한국은행이 올해 안으로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1~2월 중 한 차례 인하를 거쳐 내년 말 2%대 중후반 수준의 기준금리가 운용된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1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연 3.50%에서 0.25%포인트(p) 인하했다.

이로써 한은은 2021년 8월 기준금리 0.25%p 인상을 시작으로 진입한 통화 긴축 터널에서 본격적으로 빠져나오게 됐다.

통화 정책 방향이 돈줄을 죄는 '긴축'이 아닌 돈줄을 푸는 '완화' 쪽으로 돌아선 만큼, 장장 3년 동안 민간을 짓눌렀던 고금리 여건은 한층 누그러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금통위의 연내 추가 인하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한은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인하의 시점(timing)은 앞당겼으나 총량(amount)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뉘앙스를 전달했다"며 "11월 동결을 전망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간담회에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3개월 내 기준금리 3.25% 유지' 의견을 밝혔다고 전했다.

3개월 안에 기준금리를 3%로 추가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견해는 1명만이 제시했다.

이번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파급 효과를 적어도 3개월 동안은 지켜보자는 판단이 금통위에 확산한 상태로 풀이된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금통위가 결정문에서 추가 인하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언급한 점을 고려하면 추가 인하까지는 적어도 3개월 이상의 정책 효과를 확인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추가 인하 시점은 내년 2월 이후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향후 3개월 관점의 포워드 가이던스에서 동결 의견이 5명이어서 내년 1월까지 추가 인하는 없을 것"이라면서 "다음 인하 시점은 내년 2월로 예상하며 3분기 추가 인하를 거쳐 내년 말 2.75% 도달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뉴스1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금통위는 최근 둔화한 수도권 집값 상승세와 가계대출 증가세가 추세적으로 이어질지 확인하면서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전망이다.

김명실 iM증권 연구원은 "이번 인하에도 불구하고 향후 부동산 가격이나 가계대출 같은 금융 안정 요인을 계속 고려하겠다고 강조한 점이 매파적 인하로 평가됐다"며 "내년 1월 추가 인하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예상되는 구체적인 금리 인하 속도로 '반기당 1차례' 또는 '3분기까지 매 분기 1차례'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준금리는 올해 말 3.25%에서 유지되고, 내년 말쯤에는 2%대 중후반 수준에 다다를 거란 기대다.

류진이 SK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자극하지 않도록 내년 분기당 0.25%p씩 점진적으로 인하돼 내년 3분기 중립 금리 수준인 2.5%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도 "분기별 1차례 인하 전망을 유지한다"며 "당분간 가계부채만 안정되면 시장이 추정하는 중립 수준에서 인하는 마무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내년 성장률 전망이 2%를 밑돌면 2.50%까지 완화 기대는 강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icef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