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10월 금통위 0.25%포인트 인하
"불필요하게 고금리 유지할 필요 없어"
추가 인하 여력있어…금융 안정 고려해 결정
[서울=뉴시스] 한국은행이 3년2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앞서 금통위는 2022년 4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사상 처음으로 7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후 2월부터 올해 8월까지 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긴축 시대가 막을 내렸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춰 3년2개월 간 끌고온 긴축 기조를 마무리했다. 1%대로 내려온 물가 상승률과 미국의 빅컷(0.5%포인트) 인하로 금리 운용에 숨통이 트이자, 내수 부진을 더 이상 두고 보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번 금리 인하에도 추가 인하 여력이 있다고 언급하며 스스로 '매파적 인하'로 규정지었다. 향후 인하 속도에 대해서는 집값과 가계부채 등 금융 안정 상황을 고려해 판단하겠다고 시사했다.
한은 금통위는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5%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한은의 금리 인하는 2020년 5월 0.25%포인트 내린 후 4년 5개월 만에 첫 금리 인하가 된다. 2021년 8월 0.25%포인트 인상 이후 이어온 한은의 긴축기조도 3년 2개월 만에 마무리됐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결정문(통방문)을 통해 "물가와 성장, 금융 안정 등 정책 변수 간 상충관계를 면밀히 점검하며 인하 속도 등을 신중히 결정해 나갈 것"이라며 향후 점진적으로 인하에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최근 금리 인하의 발목을 잡던 가계부 채와 집값에 대해서는 안정세를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주택담보대출은 2~3개월 전의 주택 거래량에 따라 결정되는데, 9월 아파트 거래량이 7월의 2분의 1 수준이며, 수도권 주택 가격 상승률도 8월의 3분의 1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융 안정은)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와 공급 정책 이후 의미 있는 진전을 보이고 있다"며 "일단 금리를 소폭 내린 후 가계부채와 금융 부동산 가격에 주는 영향 등을 보고자 인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 총재는 또 "당분간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여력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추가 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금융 안정에 대한 상당히 고려하겠다는 점에서 매파적 인하로 해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4.10.11.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금통위는 장용성 위원이 동결 소수 의견을 내며 균열이 생겼다. 이 총재는 "장 위원은 거시건전성 효과를 판단하기 이르고, 취약계층과 자영업자가 어렵지만 성장세 전체로 볼 때는 잠재 수준을 상회하는 상황으로 일단 금리를 동결하고 효과를 점검하자는 의견을 냈다"고 말했다.
향후 3개월 내 금리 수준을 언급하는 한국판 포워드가이던스에서는 금통위원 5명은 3개월 후에도 3.25% 유지가 적절하다고 밝힌 반면, 1명은 3.2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5명은 금리 안정이 금융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봤고, 미 대선 결과와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상황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1명은 내수의 하방 압력에 대응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집값과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등 금융 안정 책무를 정부에 떠넘긴다는 지적에는 "가계부채 등은 여러 가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거시건전성 정책이 필요하고 정부와 공조가 굉장히 잘 되고 있다"면서 "공조를 통해 나라 경제에 기여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금리 인하가 이론적으로는 가계부채 증가와 부동산 가격 기대 심리를 통해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영향이 너무 크지 않도록 앞으로도 인하 속도 등을 조절하면서 정부와 정책 공조를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이 총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대해서는 "능력이 비해 많은 돈을 빌려줘서 나중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면에서 중장기적으로는 좀 더 확대돼야 된다"는 의사를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