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1년 8월 0.25%P 인상과 함께 시작된 긴축 기조의 통화정책이 완화 쪽으로 방향을 튼 것은 3년2개월 만이다. 금리인하 자체로는 2020년 5월(0.75→0.50%) 이후 4년5개월 만이다. 이미 미국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0.5%P 인하하는 ‘빅컷’을 결정했다. 글로벌 경기전망과 세계적인 추세로만 보면 한은 금리인하가 오히려 뒤늦은 감이 있다. 정부와 여당도 그동안 거듭 한은에 인하를 압박하기도 했다. 경기전망의 불확실성과 성장의 부진, 소비·투자 침체는 금리인하를 재촉하는 요인이었다. 지난 2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분기보다 0.2% 뒷걸음쳤다. 민간소비가 0.2% 감소했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도 각 1.2%, 1.7% 축소됐다. 여기에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를 기록하며 통화 긴축의 우선 목표(2%) 내로 진입했다.
그러나 부동산과 가계대출 상황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9월 가계대출 잔액은 730조9671억원으로, 8월 말(725조3642억원)보다 5조6029억원 늘어 7·8월의 월간 증가폭보다 작았으나 주택 구입 목적 신규 주택담보대출은 추석 연휴를 제외한 하루평균 3934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9월 셋째 주부터 3주 연속 상승폭이 줄어들었으나 강남·서초·용산·마포 등은 여전히 강세다. 경기지역도 성남·과천 등 지역 집값 오름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금리인하로 가계와 기업은 이자부담으로부터 한숨을 돌리고 부진한 내수에도 숨통이 트이게 됐다. 그러나 돈을 더 싸게 빌릴 수 있는데 생활물가가 높고 주식시장은 부진하며 경기전망도 불투명하면 부동산에 자금이 쏠리게 된다. 그렇다고 대출을 무조건 조이면 서민과 실수요자만 피해를 볼 수도 있다. 정부가 금리인하 기대 효과에 막연히 의존하지 말고 정교한 맞춤형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얘기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