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노벨상, 또 AI 찍었다…화학상에 이세돌 이긴 '알파고 아버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노벨상위원회가 9일(현지시간) 노벨 화학상 3인을 발표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인공지능)가 올해 노벨과학상을 사실상 휩쓸었다. 노벨 물리학상에 이어 노벨 화학상까지 AI 전문가에게 돌아갔다.

올해 노벨 화학상은 새로운 단백질을 찾고, AI를 활용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든 3명의 학자에게 돌아갔다. 9일(현지시간) 스웨덴 노벨상위원회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와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 존 점퍼 구글 딥마인드 수석연구원을 선정했다고 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전날 노벨 물리학상이 역전파 알고리즘을 고안한 ‘AI 대부’ 제프리 힌턴 토론토대 명예교수에게 돌아간 데 이어 화학상도 AI 연구자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그동안 노벨상이 주로 순수 학문의 손을 들어줬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하사비스 CEO는 2016년 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 대결해 AI가 복잡한 게임에서도 인간을 이길 수 있음을 보여준 바둑 AI 알파고 개발을 주도한 인물이기도 하다.

베이커 교수는 새로운 단백질 설계법을 개발한 공로, 허사비스 CEO와 점퍼 수석연구원은 단백질의 구조 예측 모델 ‘알파포드2’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이날 노벨상위원회는 “올해 주목 받는 발견 중 하나는 놀라운 단백질을 만드는 것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단백질 구조를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예측하는 50년 묵은 꿈을 이룬 것이다. 이 두 발견은 엄청난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중앙일보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알파폴드2는 구글 딥마인드가 2020년 개발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AI 모델이다. 신약 개발의 핵심은 어떤 단백질이 질병과 연관이 있는지 밝혀내고, 억제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단백질은 긴 사슬처럼 연결된 아미노산이 3차원 구조로 접혀 있는 형태를 띄고 있다. 어떻게 접히는지에 따라서 단백질의 기능이 달라져 단백질 구조를 이해해야 기능도 제대로 알 수 있다. 알파폴드2는 챗GPT에도 쓰인 ‘트랜스포머’ 기반 AI 모델을 바탕으로 약 2억 개의 단백질 구조를 예측했다.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의 안드레이 루파스 교수는 2020년 네이처에 “10년간 알아내지 못한 특정 단백질 구조를 알파폴드2는 30분 만에 밝혀냈다”며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등장했다”고 말했다.

알파폴드2가 나온 이후엔 과거처럼 직접 실험을 통해 생체 분자 구조를 밝히지 않아도 AI를 이용해 빠르고 간편하게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기계가 고장났을 때 설계도 등을 보면 어떤 곳에 어떤 모양의 부품을 사용해 고쳐야하는지 알 수 있는 것과 비슷하다. 딥마인드는 올해 상반기 알파폴드3 까지 발표했다. 실제 연구 현장에서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노벨상위원회에 따르면 알파폴드2는 190개국 2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석차옥 서울대 교수는 “알파폴드 덕분에 컴퓨터로도 실제 실험을 한 것과 맞먹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현재 뿐 아니라 미래에도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단백질 구조를 알파폴드에 입력하면 알파폴드가 비슷한 형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해 알려준다. 사진 알파폴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딥마인드가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 AI를 만들었다면, 베이커 교수는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2003년 단백질의 기본 요소인 아미노산을 사용해 기존 단백질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단백질을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의약품, 백신, 나노 물질 등으로 쓰일 수 있는 단백질을 잇달아 만들어 냈다. 지난 2021년에는 단백질 접힘을 예측하는 ‘로제타폴드’를 선보여 단백질이 잘못 접힌 구조로 인해 생기는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같은 뇌 질환 연구 등에 진전을 가져왔다. 석 교수는 “단백질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분자를 직접 설계할 수 있게 한 게 베이커 교수 연구팀”이라고 말했다.

노벨 화학상 올해 수상자에게는 상금 1100만 크로나(약 14억3400만원)가 지급된다.

■ 노벨상과 만난 AI,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글로벌 AI 리더들은 오랫동안 난치병으로부터 인류를 구할 방법을 연구해 왔다. 올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지난 2월 MWC(모바일월드콩그레스)에서 "AI는 평균 10년 걸리던 신약 개발 기간을 몇 달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을 제시하기도. 딥마인드가 개발한 알파폴드가 제약업계에 어떤 혁신을 가져왔는지 궁금하다면.

10년 신약개발 몇달만에 뚝딱...AI가 '난치병 자물쇠' 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5327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제프리 힌턴 토론토대 교수도 구글에서 부사장까지 지낸 인물. 지난해 4월 힌턴 교수는 AI의 위험성을 더 자유롭게 비판하겠다며 구글을 박차고 나왔다. 노벨상 수상 소감을 통해서도 "AI가 통제에서 벗어나 생존 위협을 가져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우리는 역사적 분기점에 있다"고 경고하기도. 힌턴 교수의 과거 인터뷰들이 보고싶다면.

[국내 최초 단독 인터뷰] 21세기 인공지능의 대부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0382230

“인류 재앙, 막을 방법 모른다” AI 대부가 AI 미래 경고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0315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