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9 (수)

산업 데이터 플랫폼 위한 밑그림 착수…'DPP 대응 플랫폼 구축 가이드라인' 용역 입찰 공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정부가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과 산업 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한국형 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의 밑그림을 그린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위해 'DPP(Digital Product Passport, 디지털제품여권) 대응 플랫폼 구축 가이드라인' 용역 입찰 공고를 10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시행한다.

이번 용역 과제는 디플정위와 과기정통부가 디지털플랫폼정부에 대한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추진 중인 '2024년 국민체감형 민간혁신 프로젝트' 중 하나로 과제 주관부처로 산업부를 선정했다.

과기정통부의 예산(5억원)으로 진행되는 이번 과제를 통해 산업부는 데이터 스페이스 선진 사례·기술을 조사·분석한다. 한국형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가이드라인을 도출할 예정이다.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디지털제품여권(DPP)'에 따르면 원료·부품 정보, 수리용이성, 탄소발자국, 재생원료 함량 등 제품 공급망 전 과정의 광범위한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소비자에게 공개하게 된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우리 기업의 영업비밀 등 중요 정보가 의도치 않게 국외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기업 영업 비밀을 보호하면서도 규제에 대응하고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우리 여건에 맞는 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

특히 DPP대응 플랫폼인 '데이터 스페이스(Data space)'는 기존에 중앙에서 기업의 데이터를 수집·축적하는 형태가 아니라, 개별 기업의 데이터 주권(영업비밀)을 보장하면서 데이터의 통로 역할(중계)만 수행하는 방식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간 공급망으로 연결된 제품 탄소발자국 취합에 있어서 원청기업과 협력업체 간에는 데이터 공유·협업에 어려움이 많았다. 정부는 이번 플랫폼 구축 과정에서 활용·보안 중심의 '데이터 스페이스'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한편 EU, 일본 등 주요국도 산업 데이터 연계를 위해 데이터 스페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그동안 거버넌스·보안 등의 이유로 활성화되지 못했던 산업 데이터의 활용에 있어서도 데이터 스페이스 방식은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승현 디플정위 플랫폼데이터혁신국장은 “디지털트윈TF에서 최초로 정부의 DPP대응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으며, 이번 과제를 통해 한국형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의 진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