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판매액 감소, 실질 소비 그만큼 줄었다는 의미
"내수 활성화 위한 규제 완화, 금리 인하 필요할 때"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소비자들이 '한돈데이' 선착순 세일 상품 구매를 위해 길게 줄지어 매대로 향하고 있다. 뉴시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고금리 등으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올해 상반기 내수 시장이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최근 소매판매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불변지수 기준)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다. 이른바 '카드 대란'으로 내수 소비가 크게 꺾였던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소매판매액지수는 개인·소비용 상품을 파는 2700개 기업 판매액을 조사한 결과로 불변지수는 물가 상승의 영향을 제거한 값이다. 통상적으로 경제 주체들의 실질 재화 소비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한다.
소매판매액이 음의 값으로 나타난 것은 실질 소비의 양이 이전보다 감소했다는 뜻이다. 업계는 최근 몇 년 동안 누적된 전 세계적인 물가 상승 등 요인들로 소비가 위축됐다고 해석한다.
경총은 소매판매액 불변지수의 증가세 둔화가 2022년 상반기부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총 관계자는 "불변지수는 2021년에도 5.5%의 비교적 양호한 증가율을 시현하긴 했지만 2020년 코로나 사태의 기저효과와 당시 낮은 물가 수준을 감안하면 소비가 좋았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20년 전후부터 실질 소비는 이미 둔화 추세"라고 분석했다.
올해 상반기 가격 변동을 포함한 소매판매액(경상지수 기준) 증가율도 지난해 동기 대비 0.3% 증가에 그쳤다. 상반기 기준 지난 2021년과 2022년에 각각 8.1%, 7.1%씩 늘던 소매 판매가 누적된 물가 상승으로 2023년 2.2%, 2024년 0.3% 등 점차 둔화한 것이다.
이 기간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은 기타내구재와 가구, 의약품 등에서 각각 10.3%, 8.7%, 5.1% 등으로 높았다. 다만 승용차 8.1%, 오락·취미·경기용품 5.3% 감소하며 품목별 차이를 보였다. 업태별로는 면세점, 무점포소매에서 크게 늘어난 반면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전문소매점은 감소했다.
이 가운데 면세점은 올해 상반기 가장 높은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13.6%)을 기록했다. 최근 면세점 이용객 증가에 따른 영향이 일부 반영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올해 6월 면세점 이용객 수는 236만명, 매출액은 1조1996억원으로 2023년 6월 대비 각각 30.2%, 12% 늘었다.
이승용 경총 경제분석팀장은 “최근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수출과 달리,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여 우려스럽다"며 “내수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와 지원책을 적극 추진하고 장기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된 기준금리의 인하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