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전공의 이탈 이후 ‘약 장기 처방’ 13% 증가…환자 치료 악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래진료 어려워져 “미리 타두자”…월평균 34만건 늘어

오래 보관 땐 변질·약 수급 차질…“처방전 리필제 고려를”

경향신문

용산으로 간 의대 교수들 “의평원 무력화 안 돼” 의대 교수들이 3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열린 한국의학교육평가원 무력화 저지 결의대회에서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커진 의료 이용 불편으로 몇달치 약을 처방받는 사례가 급증했다. 장기 처방 약은 보관 과정에서의 변질이나 약 수급 문제를 낳을 수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월별 장기 처방 현황을 보면, 전공의 집단 이탈 직후인 올해 3월부터 7월까지 장기 처방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이 기간 60일 이상 장기 처방 건수는 월평균 639만751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05만2941건)에 비해 34만4577건 증가했다. 120일 이상 처방은 월평균 8만4016건, 180일 이상은 월평균 5만5230건 늘어났다. 360일 이상 장기 처방도 3193건이나 증가했는데 이는 지난해에 비해 13%나 늘어난 수치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월 말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대형병원 외래 진료가 어려워진 것이 장기 처방 증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만성질환으로 약을 장기 복용해야 하는 환자들이 진료 횟수가 줄어 장기 처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약사들은 장기 처방 증가를 우려했다. 대한약사회 관계자는 “약 유효기간이 보통 2년이지만, 보관 기관이 두 달이 넘으면 약 효능이 떨어지거나 상하는 경우가 많아진다”고 말했다. 고령의 환자일수록 다양한 약을 캡슐이나 약병째로 판매하는 것보다 약 봉지에 한 회분씩 포장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 경우 약이 온·습도에 따라 변질되기 더 쉽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 처방 질병 상위 5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장기 처방된 약 중 1위는 고혈압 약, 2위는 인슐린-비의존 당뇨병 약, 3위는 알츠하이머병 관련 약이었다. 주로 노인들의 만성질환에 쓰이는 약들이다.

장기 처방은 약 수급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인천의 한 약사는 “몇몇 약이 품절돼 구하는 데 차질을 빚기도 했다”고 전했다. 제약회사에서는 월별 수요를 예측해 약을 생산하는데 한꺼번에 약을 조제하는 사람이 급증하면서 특정 품목이 품절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했다는 것이다.

2001년 장기 처방을 60일까지로 제한한 규정이 폐지되면서 현재는 장기 처방 기간에 대한 제한이 없다. 처방 기간은 의사 권한이기 때문에, 약사들은 처방 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약만 새롭게 다시 받아갈 수 있도록 하는 ‘처방전 리필제’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처방전 리필제는 처방전 한 장으로 약을 여러 차례 나눠 받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90일분의 약을 처방할 때 1회 30일분씩 총 3회에 나눠서 약을 받게 하는 것이다. 미국과 영국, 일본 등에서 도입한 제도다.

강 의원은 “보건복지부가 약품 유통기한 등을 고려한 처방 리필제나 분할처방 도입 등 다각적인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혜인 기자 hyei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경향신문이 독자님께 커피를 쏩니다!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