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이 글로벌 인공지능(AI) 부문에서 3위로 도약하기 위해 미국과 손잡았다. 미국 뉴욕에 AI 연구소를 설립해 원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의료·헬스케어 등 응용 분야에서 AI 적용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AI 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할 대통령 직속 국가 AI위원회도 조만간 출범할 예정인 등 'AI 분야 3대 강국(G3)' 비전 실현을 위한 정책 과제들이 본격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한미 글로벌 연구개발(R&D) 교두보가 될 '글로벌AI 프런티어랩' 개소식이 뉴욕에서 24일(현지시간) 열렸다. 뉴욕 메트로테크센터에 들어선 글로벌AI 프런티어랩은 2028년까지 과기정통부가 450억원, 뉴욕대가 420억원(약 3150만달러)을 투자해 AI 원천 알고리즘, 신뢰와 책임 있는 AI, 의료·헬스케어 AI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수행할 기구다. 뉴욕대는 노벨상 38명, 튜링상 8명을 배출한 명문 대학이다. 글로벌 기술 패권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성과 창출로 물꼬를 트겠다는 정부의 구상이다. 과기정통부는 공동연구를 수행할 국내 연구진을 공모해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여기에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카이스트(KAIST), 포스텍(POSTECH) 등의 교수진이 참여한다. 공동 소장은 AI 석학으로 꼽히는 얀 르쾽 뉴욕대 교수와 삼성 호암상 공학상을 받은 조경현 뉴욕대 교수가 맡았다. 개소식에 참석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AI 협력과 혁신에 있어 새 전환점을 맞이하는 중요한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공동 연구소장인 얀 르쾽 뉴욕대 교수는 "미국과 한국은 AI 관련 이론, 알고리즘, 애플리케이션, 하드웨어 그리고 로보틱스 영역에 이르기까지 최고의 연구기관을 보유한 국가"라며 "진정한 글로벌 연구가 이번 AI 프런티어랩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린다 밀스 뉴욕대 총장, 앤드루 킴벌 뉴욕시 경제개발공사 회장 등 한미 AI 리더 약 150명이 참가했다.
정부는 미국뿐만 아니라 다음달 국내에서도 AI 신기술의 국제 공동 연구를 수행할 연구거점을 서울 서초구 'AI허브'에 만들 예정이다. 또 오는 11월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산하에 'AI 안전연구소'도 신설해 최근 문제가 커지고 있는 딥페이크 범죄, 가짜뉴스, 개인정보 침해 등 AI 부작용에 대응할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이달 중 출범될 예정인 대통령 직속 국가 AI위원회다.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으로 AI 관련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으면서 민간의 우수한 역량을 활용하고 AI가 가져올 부작용에도 대응해 나가겠다는 취지다. 45명의 전문위원을 위촉해 산업 영역을 넘어 인문·사회 영역으로까지 AI 영향력을 확장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법·제도 마련과 정비, 인재 양성, 기술 개발, 공공 분야 AI 적용 및 확산, 인프라 구축 등 분과가 생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조치는 '소버린 AI(Sovereign AI)' 부상과 무관하지 않다. 소버린 AI는 특정 국가의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는 AI를 가리킨다. 전 세계적으로 빅테크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국가가 직접 나서 AI 주권을 지켜야만 빅테크에 종속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개념이다. 이와 관련해 영국의 데이터 분석 미디어 기업인 토터스미디어가 집계한 '2024년 글로벌 AI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 중국, 싱가포르, 영국, 프랑스에 이어 6위였다. 미국이 100점 만점에 100점을 기록하며 중국(53점)과 큰 격차를 유지한 가운데 나머지 3~10위 국가가 23~33점 사이에 밀집돼 있었다.
고환경 법무법인 광장 파트너 변호사는 "규제 불확실성을 신속히 해소해 AI 기술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조속히 이뤄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AI 육성을 위해 기본법 조기 제정, 컴퓨팅 파워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동인 기자 / 뉴욕 윤원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