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세 이하 499만→274만 '반토막'…저출산 지속 여파
6월 동대문디지털플라자에서 열린 '서울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현장에서 채용공고 게시대를 살펴보는 노인들(이지혜 기자 jyelee@)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으로 30여 년 후인 2052년에는 5집 중 1집꼴로 가구주 연령이 80대 이상일 것으로 관측된다. 2차 베이비붐 세대가 대거 80대로 진입하고 급격한 고령화로 노인 가구 비중이 대폭 높아져서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가구주 연령이 80세 이상인 가구는 2022년 119만4000가구에서 2052년 487만6000가구로 30년간 4.1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80세 이상 가구는 2033년 205만8000가구, 2039년 300만6000가구로 2040년대에 접어들기 전 각각 200만·300만 가구를 넘어선다. 2045년 405만1000가구로 400만 가구를 돌파하고, 2052년 487만6000가구로 500만 가구에 근접하게 된다. 이는 2052년 전체 2327만7000가구 중 20.9% 규모다. 2022년 기준 80대 이상 가구 비중은 5.5%다.
80대는 2022년 108만7000가구에서 2052년 379만2000가구로 3.5배, 90대는 같은 기간 10만6000가구에서 105만2000가구로 10배 증가한다. 100세 이상은 2000가구에서 3만2000가구로 무려 16배 오른다.
이 시기에는 1964년부터 1974년 사이에 태어난 2차 베이비붐 세대 대부분이 80대 이상이 된다. 사별 등으로 노인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초고령화까지 맞물려 가구주 연령대가 크게 높아진 영향으로 보인다.
2052년 기준 80대 이상 가구는 228만5000가구로 전체 1인 가구(962만 가구) 중 가장 큰 비중인 23.8% 규모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는 1178만8000가구(50.6%)로 전체 가구의 절반에 달한다. 2052년 가구주 중위연령은 65.4세다.
반면 30대 이하 가구주는 2022년 498만8000가구에서 2052년 274만4000가구로 약 1.8배 줄어드는 것으로 예측됐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0%에서 11.8%로 반토막이 난다.
이는 오랜 기간 지속한 세계 최고 수준의 우리나라 저출산과 무관치 않다. 통계청에 따르면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평균 1.51명(2022년 기준)의 절반에도 미달한다.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에서 전망한 올해 합계출산율은 중위 시나리오 기준 0.68명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2030년 합계출산율 1.0명 목표를 설정하고 연내 부처별로 저출산 정책 효과에 대한 자체 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내달 중 저출산 극복을 위한 부처별 성과관리 청사진을 그리고 내년 초 각 부처의 자체 평가 내용을 종합 점검한다는 구상이다.
[이투데이/세종=정호영 기자 (moonrise@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