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0 (금)

[단독] “비빔밥이 중국음식? 선 넘네”…황당한 中, 아리랑·막걸리까지 삼킬 지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지방정부 무형유산 등재목록 분석해보니

냉면·된장·비빔밥 등 50개
15년간 중국 문화재로 등재
동북지방 3성 조선족 앞세워
2009년 ‘농악무 사태’처럼
유네스코유산 올리려는 꼼수


매일경제

비빔밥 [사진 = 픽사베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전통음식 돌솥비빔밥의 조리법이 중국 지방정부의 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됐다고 알려지며 논란이 인 가운데 그 외에도 다수의 한국 전통 무형문화유산이 중국 성급 문화재로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가 조선족의 국적과 터전이 중국임을 앞세워 한국 고유의 전통 문화가 처음부터 자국의 문화였던 것처럼 둔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20일 길림성, 흑룡강성, 랴오닝성 등 중국 동북지방 3개 성 지방정부의 성급 무형문화유산 등재 목록을 확인한 결과 50가지 이상의 한국 전통 문화가 ‘조선족’ 이름을 달고 중국 유산에 등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지방정부들은 2006년부터 2021년까지 약 15년 동안 막걸리 양조기술을 비롯해 아리랑, 씨름, 김치 주거 건축기술(한옥 추정) 등 한국을 대표하는 무형 문화를 성급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가장 많은 항목을 등록한 지방정부는 길림성 인민정부다. 길림성은 2007년 1차 목록부터 2021년 5차 목록을 발표하기까지 최소 56가지의 조선족 무형문화를 등재했다. 2007년 1차 발표 때에만 부채춤, 칼춤, 학춤, 접시춤, 상모춤, 그네, 널뛰기, 냉면, 전통악기 제작기술, 돌잡이, 환갑잔치, 전통의복 등 19개 항목을 조선족의 문화로 등재했다.

이어 △2차(2009년) 아리랑 타령, 씨름, 줄다리기, 윷놀이, 된장, 인절미, 돌솥 제작기술, 김치, 장례풍습 등 20개 △3차(2011년) 막걸리 양조기술, 주거용 건축기술, 자수 등 13개 △4차(2016년) 창극(판소리조로 연행하는 한국 극 분야) 등 1개 △5차(2021년) 농악 장단, 돌솥비빔밥 조리법, 쌀떡 제조법 등 3개 항목을 등재했다.

흑룡강성과 랴오닝성도 비슷한 기간 각각 5차, 6차에 걸쳐 무형문화유산을 등록했는데, 이 과정에서 사물놀이, 가야금, 유둣날(유두일), 판소리, 민담, 전통강창기술 등이 조선족 문화로 등재됐다. 각각 중복되는 항목을 따로 분류할 경우 숫자는 더 늘어난다. 특히 랴오닝성에서는 2011년 4차 발표 당시 명절 추석까지 ‘조선족 추석절’이라는 이름으로 등재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조선족을 내세워 마치 자신들의 문화였던 양 등재하려는 시도는 굉장히 큰 문제”라며 “성급 문화재 혹은 국가급 문화재로 먼저 등록을 시킨 다음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게 중국의 방식 중 하나로 그 의도가 다분하다”고 지적했다. 2009년 중국이 한국 고유의 음악인 농악을 ‘조선족의 농악무’라는 이름으로 한국보다 앞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문제는 뾰족한 대응책이 없다는 점이다. 중국이 조선족을 포함한 55개 소수민족까지 ‘중화민족’으로 인정하는 ‘중화민족공동체’를 강조하며 주변 문화도 중국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조선족을 관할하는 중국 지방정부의 등재작업에 한국이 관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농악처럼 중국이 한국의 무형문화를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 시도할 위험이 상존해있는 것이다.

이에 국가유산청은 지난 19일 “체계적 관리 및 대응이 시급한 무형유산을 선별하는 등 추가적인 연구용역 수행을 통해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필요 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우선 등재를 위한 선제적 조치 강구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무형문화유산 외에도 역사와 문화 분야에서 중국의 왜곡시도는 심각한 수준이다. 당장 중국의 최대 검색 사이트 바이두에는 ‘고구려는 중국 지방 정권’임을 설명하는 영상의 조회수가 수십만회를 넘어가고 있으며, 위키백과 격인 ‘바이두백과’에는 시인 윤동주에 대해서는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