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ESMO에서
유방암 수술 전후요법 '키노트-522' 발표
'표적치료' 타깃 없는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 어렵고, 예후도 공격적
키트루다 활용 시 생존율 향상 관찰
피터 슈미드 영국 런던 바츠암재단 교수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2024 유럽종양학회(ESMO) 셋째날인 15일(현지시간) '고위험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에 대한 선행항앙요법으로서 키트루다 및 항암화학요법 및 수술 후 보조요법 임상 3상 키노트(KEYNOT)-522 연구의 전체 생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이춘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피터 슈미드 영국 런던 바츠암재단 교수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2024 유럽종양학회(ESMO) 셋째 날인 15일(현지시간) '고위험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에 대한 선행항암요법으로서 키트루다 및 항암화학요법 및 수술 후 보조요법: 임상 3상 키노트(KEYNOTE)-522 연구의 전체 생존 결과'에 대한 발표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해당 요법을 고위험의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표준치료로 쓸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유방암 치료에서 키트루다의 우수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번 연구 대상이 된 삼중음성 유방암은 현재 유방암 표적치료의 주요 타깃으로 쓰이는 인간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HER)2,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등 세 가지 수용체가 모두 나타나지 않은 경우를 뜻한다. 즉 표적항암제 및 호르몬 치료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환자들이다.
이 때문에 삼중음성 유방암은 치료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암의 진행까지도 공격적이라는 평가다. 현재 유방암은 국소 단계에서는 환자의 99%, 다른 부위로 전이되는 수준까지 치닫더라도 31%가 5년 이상 생존하는 암이다. 하지만 삼중음성 유방암의 경우 이 비율이 각각 91%, 12%로 떨어진다.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
이처럼 위험성이 높음에도 마땅한 치료제가 없던 삼중음성 유방암에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를 도입하는 시도가 나오면서 새로운 길이 열렸다는 평가다. 키노트-522는 수술 전 키트루다와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해 2㎝ 이상인 고위험 환자의 종양 크기를 줄여놓고, 수술 후에도 키트루다를 추가로 투약해 더 높은 치료 효과를 끌어내는 요법이다. 이외에도 수술이 불가능한 재발성 또는 전이성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키노트-355까지 두 개의 요법이 국내에서도 효능을 입증받아 허가됐다.
해당 요법의 첫 전체 생존 데이터 공개로 주목받은 이번 결과는 환자들을 최대 7년까지 관찰한 결과 키트루다군은 환자 784명 중 115명(14.7%), 대조군은 390명 중 85명(21.8%)이 사망했다. 이에 대한 위험비는 0.66으로 키트루다를 함께 사용할 경우 환자의 사망 위험을 34%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5년까지 관찰했을 때를 기준으로는 각각 13.4%와 18.3%가 사망했다.
이날 발표 중 주목받은 내용은 수술 후에 암이 완전히 사라지는 병리학적 완전 관해(pCR)가 나타나지 않은 환자에서 특히 키트루다 치료가 효과를 발휘했다는 점이다. 수술로 암이 사라진 환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이 키트루다군 95.1%, 위약군이 94.4%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암이 다 사라지지 못한 환자에게서는 각각 71.8%와 65.7%로 상당한 격차가 나타났다. 다만 시험 설계상 수술 후 무작위 배정을 하지 않은 만큼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발표 후 토론자로 나선 말린 콕 네덜란드 암연구소 박사는 "pCR이 나타나지 않은 환자의 경우 생존율 곡선이 키트루다 선행항암요법 여부에 따라 갈라지는 모습이 보였다"며 "면역치료를 활용하면 종양 미세환경을 바꿀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박연희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가 15일(현지시간) 2024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키노트(KEYNOTE)-522 연구 결과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연구의 의의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이춘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연구에 함께했던 박연희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조기에서 완치율을 훨씬 높이고, 비 pCR 환자에게서도 생존 기간 연장을 가져온 고정관념을 깬 연구"라고 이번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또한 "이 요법은 투약 횟수가 정해져 있어 '효과가 좋을 경우 더 써야 하지 않느냐'는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된다"며 "선행항암요법을 해야 면역치료가 더 효과가 좋다는 건 의학적으로 증가가 있는 치료법"이라고 강조했다.
바르셀로나=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