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경기 안산시에 있는 원식씨와 순옥씨 집에서 만난 기자에게 딸 유리씨의 실종 당시 사진과 현재 추정 모습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송현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송혜희 찾던 송길용씨 알지. 참 좋은 사람이었는데 그렇게 떠났잖아. 우리도 이제 (하늘로)갈 때가 된 게 아닌가 싶어. 마지막으로 유리가 살아 있는지만이라도 알았으면 좋겠어.”
지난 11일 경기 안산시에서 만난 정원식(73)씨는 ‘실종자를 찾습니다’라고 적힌 전단지 속 딸 유리씨의 얼굴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기적이라는 게 있으면 이번 추석에 딸을 만나고 싶다”던 정씨는 “어젯밤 꿈에서 봤는데, 진짜 얼굴을 한 번이라도 보고 죽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애써 감정을 숨기고 있던 정씨의 아내 김순옥(69)씨도 “딸을 만나면 집에서 밥 한 끼 꼭 해먹이고 싶다”며 끝내 눈시울을 붉혔다.
정씨 부부가 딸 유리씨 없이 추석을 보내는 건 올해가 34번째다. 유리씨는 11살이던 1991년 8월 5일 경기 안산시의 한 빌라 앞에서 사라진 이후 지금까지 실종 상태다. “어떤 아줌마, 아저씨가 언니를 데리고 갔다”는 유리씨 친척 동생의 말이 유리씨의 마지막 모습이 됐다. 부부는 생계를 내팽개치고 딸을 찾아 헤맸고, 제보가 올 때마다 전국 곳곳을 다녔다. 지하철역이나 버스터미널 쓰레기통에 한 움큼씩 버려진 전단지를 다시 주워 집에 가지고 돌아와 펼치는 게 일상이었다. 2021년에는 방송사의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했고, 지금까지 수많은 언론사와 인터뷰도 했다.
1991년 8월 5일 유리씨가 실종됐던 장소. 원식씨는 3년 전쯤 이곳이 재개발을 한다는 소식을 듣고 흔적을 남기기 위해 실종 장소를 다시 찾았다. 송현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렇게 꼬박 33년 동안 ‘실종자를 찾습니다’, ‘우리 아이를 찾아주세요’라는 전단지를 들고 찾았던 딸은 이제 44살이 됐다. 전단지에는 실종 당시 모습과 현재 모습을 예측한 사진이 함께 들어간다. 정씨 부부는 딸이 크는 모습을 그 사진으로만 볼 수 있다.
주변 사람들은 “이제 그만 딸은 잊고, 건강 생각해야 한다”, “이 정도면 할 만큼 했다”는 말을 정씨에게 자주 한다. 4년 전부터 건강이 나빠진 정씨는 이제 지팡이를 짚고 걷는 것조차 힘겨운 상태다. 뇌에는 종양이 생겼고, 백내장 탓에 한쪽 눈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지하철역도 버스터미널도 갈 수가 없다. 정씨의 집 한쪽에는 미처 돌리지 못한 전단지들이 박스째 쌓여 있었다. 기력이 떨어져 전단지를 돌리고 난 뒤 혹시라도 연락이 올까 휴대전화만 쳐다보는 일도 줄었다.
지난 11일 원식씨가 다른 실종 아동들의 사진을 살펴보고 있다. 원식씨는 어디선가 아이들을 보게 되면 부모에게 바로 전화해주기 위해 가끔 실종 아동 사진을 꺼내본다고 했다. 송현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자식 잃은 원숭이의 몸을 갈랐더니 창자가 모두 끊어져 있었다는 ‘단장’의 고통은 그대로다. 33년이 지난 지금도 부부의 꿈에는 유리씨가 종종 나온다. 정씨는 “몸이 이래서 더 이상 뭔가를 더 할 수가 없다는 걸 안다”면서도 “차라리 누가 유리를 잊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봤지만, 자식을 잊는게 가능할리가 없지 않냐”고 했다.
‘딸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냐’는 질문에 정씨 부부는 한참을 망설이다 짧은 말을 남겼다.
“엄마 아빠가 너를 잃어버려서 미안해. 밥은 잘 먹고 다니는지, 이불은 잘 덮고 자는지 모르겠다. 보고 싶어. 유리야.”
글·사진 송현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