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훈 기자(nowhere@pressian.com)]
여권 차기 대권주자 후보군으로 꼽히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현재 최대 현안이 된 의료위기 우려 사태에 대해 '2026년 의대 정원을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하고, 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은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오 시장은 9일 기독교방송(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번에 하기로 한 여야의정에 지금 의사단체에서는 안 오겠다는 건데, 의사단체도 좀 협의에 참여를 해서 논의가 좀 물꼬가 트였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에 라디오 진행자가 '26학년도 것은 다시 원점에서 재논의 해야 한다는 데에 대해 오 시장은 찬성이냐'고 묻자 "그렇다. 그렇게 해야 논의가 시작될 수 있다"고 했다.
오 시장은 또 의사들이 요구하고 있는 장차관 경질 부분에 대해서는 "지금 당장 장차관을 바꾸는 거는 현실적으로 어렵겠지만 또 한편 생각해 보면 의사협회가 지금 여야의정에도 안 들어온다고 하는 판인데 어떻게든 참여시키려면 좀 융통성을 보여줘야 한다"면서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차관님 정도는 스스로 좀 고민을 좀 하는 것도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지 않겠나. 그렇게 해야 의사협회에서 (협의체에) 들어오는 데 어떤 하나의 계기가 마련되지 않겠나"라고 했다.
오 시장은 한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간의 회동 합의사항이었던 '지구당 부활 적극 협의'와 관련 "퇴행적이다"라고 직설적으로 비판했다. 지구당 폐지는 오 시장이 국회의원 시절 정치개혁 일환으로 주도했던 것으로, 2004년 당시 이같은 내용의 정당법 개정안은 '오세훈법'으로 불렸다.
오 시장은 "지금 정치가 잘 안 풀리고 있는 게 원외 지구당에 신인 등용이 안 돼서라든가, 논의를 바닥부터 바텀-업 방식으로 위로 올려보내는 데 기능에 문제가 생겨서 민심을 반영하는 게 어려운 건 아니지 않느냐"며 특히 자당 대표인 한 대표를 겨냥해 "당 장악이라든가, 전당대회가 끝난 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전당대회 때 해놓은 말빚을 갚으시는 단계(에서 나온 논의)인데, 좀 재고를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이게 어차피 민생과는 관련없는 얘기이고 정치권의 이해관계"라며 "과연 국민들이 동의하실 수 있는 사안인가에 대해서는 좀 신중하게 생각해 줬으면 좋겠다"고 강하게 반대 의사를 밝혔다. "전 세계에서 원외 지구당 위원장들까지 전부 후원금을 받아서 쓸 수 있게 제도를 만들어 놓은 데는 극히 드물다. 이게 지금 민심과는 어긋나는 행보인 것이 분명한 건 사실"이라고도 했다.
그는 또 "제도 바꾸고 나면 1~2년, 2~3년은 사고 안 생길 것인데 제도가 5년, 10년 가다 보면 과거의 구태가 다시 반복될 확률이 높아질 것"이라며 "처음에야 바싹 긴장해서 잘하겠지만 그게 몇 년이나 가겠느냐"고 회의적 태도를 보였다.
서울시 추진 사업인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 사업에 대해서는 이른바 '100미터 국기게양대' 안이 여론의 비판을 받고 있는 것과 관련 "처음에는 태극기가 굉장히 강조되긴 했는데 그렇게 꼭 높일 필요가 있느냐 하는 의견도 많으신 것 같아서 그 부분은 유연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태극기가 가장 국가를 상징하는 상징물이기는 하지만 필요하다면 안 쓸 수도 있고 쓸 수도 있다는 정도로 유연하게 지금 설계 공모를 진행할 생각"이라고 했다.
그는 일부 여론조사에서 자신과 한동훈 대표가 이재명 대표와의 가상대선 1대1 대결에서 동률을 기록했다는 보도(<시사저널>-한국여론평판연구소, 전국 성인남녀 2011명 대상 8.29~31일 조사. 이재명 54% 대 한동훈·오세훈 각 35%)에 대해서는 "대선을 앞으로도 한 2~3년 앞둔 상황에서 여론조사가 그렇게 의미가 있을까"라면서도 "귀여워해 주셔서, 좋아해 주셔서 정말 감사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자료사진).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곽재훈 기자(nowhere@pressian.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