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4 (월)

[취재석] ‘선물수수’ 시인 경기교육 수장의 낯부끄러운 ‘도덕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임태희 경기도교육감./경기도교육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걸린 게 재수 없다 생각하겠지....’

‘선생님들은 커피 한잔도 못 받는데 교육청 수장이...그러면서 맨날 청렴교육 어쩌고...너나 잘 하세요.’

‘감사관실은 엄한 사람들만 때려잡으러 다니고...영이 서겠습니까?’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의 선물수수 의혹과 관련한 누리꾼의 반응이다.

‘부인이 받도록 하지...’ 라며 불기소 결론이 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사건과 연결 지어 조롱하는 이들도 있었다.

<더팩트>가 임 교육감의 의혹을 처음 보도한 것은 지난달 14일이다.

2022년 8월 교육감 관사에서 산하기관장 내정자 A 씨가 가져온 선물을 받은 정황이 있다는 내용이었다.

기자는 취재 과정에서 임 교육감 측에 여러 차례 사실 여부를 물었다. 경기도교육청의 언론 창구인 홍보담당관실에도 협조를 구했으나 ‘묵묵부답’이었다.

임 교육감의 입장은 19일 뒤 뜻밖에도 경기도의회 본회의장에서 들을 수 있었다.

그는 지난 2일 열린 도의회 본회의에서 도의원들의 질의에 "통상적으로 사람이 방문하면 또 뭐 가져오고 그냥 뒀다가 저도 주기도 한다"고 답했다. 관사를 찾는 아랫사람이 빈손으로 오지 않는 게 당연하다는 투였다.

임 교육감은 "약점을 잡을 수 있다는 걸 감안하지 못하고 세심한 주의 없이 일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생긴 불찰"이라며 A 씨를 깎아 내리기도 했다.

보도 자체에 대해서는 "광고비 불만"이라며 언론을 탓했다.

경기도교육청 홍보담당관실 그 누구와 만난 적도, 통화한 적도, 광고비 이야기를 꺼낸 적도 없는 기자를 생뚱맞게 소환하고는 ‘불의’와 타협하지 않았다는 듯 당당한 모습이었다.

고의성 짙은 ‘인신공격의 오류’를 통해 본질을 흐리려는 의도로밖에 읽히지 않았다.

단언컨대 이번 논란의 발단은 임 교육감 자신이다.

‘내가 채용했으니 복종하라’는 식의 권위주의적 ‘공직관(公職觀)’이 문제였고, 그의 낮은 ‘청렴의식’이 화근이었다.

A 씨는 선거캠프 회계책임자인 ‘B 씨를 채용하라’는 임 교육감의 지시를 받은 정황이 있는 등 취임 초에는 꽤나 가까웠던 인사로 보인다.

그런 그가 작심(?)하고 임 교육감과의 은밀한 과거를 정치권과 주변에 흘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유는 자신을 부도덕한 범죄자로 낙인부터 찍은 임 교육감의 서슬 퍼런 칼날 때문으로 전해진다.

A 씨는 도교육청의 채용부조리 감사로 지난해 11월 해당 기관장에서 물러났다. 이후 도교육청은 그를 경찰에 고발했다. 아이러니하게도 B 씨를 채용할 당시의 정황처럼, 특정인을 지목해 채용하라고 심사위원들에게 지시했다는 혐의였다.

A 씨는 모든 것이 B 씨의 ‘좌천성’ 인사를 계기로 만들어진 누명이라고 반발하고 있다고 한다. 임 교육감 측과 관계가 틀어지면서 벌어진 일이라는 주장이다.

도교육청이 고발한 그의 사건 뒤에는 ‘경기교육계’를 뒤흔들 커다란 뇌관도 도사리고 있다.

당시 전형위원 과반 이상은 교육장, 장학관, 장학사, 교장, 교감 등 도교육청 내부 교육공무원이었다. 경찰 조사에서 A 씨 혐의가 입증되면 이들 역시 공범으로 입건될 가능성이 있다.

임 교육감이 선물을 수수한 인사와 아이들 교육을 책임지는 선생님들이 부정을 공모한 경기교육 초유의 ‘카르텔’ 부패가 드러날 수 있는 셈이다.

전후사정을 아는 도의원들 사이에서는 낯부끄럽다는 장탄식이 나왔다.

"'선물은 세심하게 주의해서 받아도 되는 것', '채용은 짬짜미하는 것'이라는 새로운 지침서를 내렸다"는 비아냥거림도 뒤섞였다.

인터넷 생중계를 통해 당시 임 교육감의 발언을 지켜봤을 학부모들의 깊은 한숨이 들린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