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 여름에 너무 더워서 다른 해에 비해 모기가 크게 줄었습니다. 웅덩이 같은 모기 서식지가 말라서 줄어든 건데, 대신 가을 모기가 극성일 거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KNN 하영광 기자입니다.
<기자>
모기가 많이 발생하는 축사 근처에 설치됐던 채집망입니다.
일본뇌염을 옮길 수 있는 빨간집모기 등을 잡기 위한 겁니다.
[송은주/부산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사 : 21주차를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은 작년에 비해서 평균온도는 1℃ 정도 높고요. 작은빨간집모기의 개체수는 35%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폭염이 본격화된 7월 4주 차의 모기 개체 수는 지난해보다 70% 가까이 줄었습니다.
부산이 26일 연속, 경남 거제가 15일 연속 최장 열대야 기록을 세운 게 이유로 꼽힙니다.
외부 기온에 맞춰 체온이 변하는 모기의 특성상 수분 손실도 커져 활동량도 줄었습니다.
[이동규/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석좌교수 : 기온이 높고 열대야가 계속되고 습도도 상당히 높았잖아요. 이렇게 되면 모기들이 오래 살지 못합니다. 한 달 정도 살 수 있던 것도 2주밖에 살 수 없는 그런 현상을 보이죠.]
줄어든 모기 개체 수는 오히려 폭염이 한풀 꺾이는 가을에 급증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습니다.
이상기온이 유지되면 모기가 10월까지도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전재현 KNN, 영상편집 : 김승연 KNN)
KNN 하영광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올 여름에 너무 더워서 다른 해에 비해 모기가 크게 줄었습니다. 웅덩이 같은 모기 서식지가 말라서 줄어든 건데, 대신 가을 모기가 극성일 거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KNN 하영광 기자입니다.
<기자>
모기가 많이 발생하는 축사 근처에 설치됐던 채집망입니다.
일본뇌염을 옮길 수 있는 빨간집모기 등을 잡기 위한 겁니다.
조사 결과, 올여름 채집된 모기의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든 걸로 나타났습니다.
[송은주/부산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사 : 21주차를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은 작년에 비해서 평균온도는 1℃ 정도 높고요. 작은빨간집모기의 개체수는 35%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폭염이 본격화된 7월 4주 차의 모기 개체 수는 지난해보다 70% 가까이 줄었습니다.
부산이 26일 연속, 경남 거제가 15일 연속 최장 열대야 기록을 세운 게 이유로 꼽힙니다.
모기는 물이 고여 있는 웅덩이나 논밭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폭염으로 산란지 자체가 사라진 겁니다.
외부 기온에 맞춰 체온이 변하는 모기의 특성상 수분 손실도 커져 활동량도 줄었습니다.
[이동규/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석좌교수 : 기온이 높고 열대야가 계속되고 습도도 상당히 높았잖아요. 이렇게 되면 모기들이 오래 살지 못합니다. 한 달 정도 살 수 있던 것도 2주밖에 살 수 없는 그런 현상을 보이죠.]
줄어든 모기 개체 수는 오히려 폭염이 한풀 꺾이는 가을에 급증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따뜻한 가을이 예측되는 데다, 강우량이 늘어나며 번식에 적합한 환경이 갖춰지는 겁니다.
이상기온이 유지되면 모기가 10월까지도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전재현 KNN, 영상편집 : 김승연 KNN)
KNN 하영광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