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2 (목)

“울 아빠보다 나이 많네”…도입 50년된 ‘이것’ 3년 안에 퇴장한다는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제주도가 전국 최초 버스에 QR결제 시스템 도입한 가운데 외국인이 결제하면 50% 할인 혜택을 준다.[사진제공=제주관광공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장 계산대에서 상품 결제 시 사용하는 바코드 기술이 표준화된 지 50년이 된 가운데 이르면 3년 안에 이를 정보무늬(QR코드)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이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현지시간) 음료업체 코카콜라, 화장품업체 로레알, 소비재업체 프록터앤드갬블(P&G) 등 다수 기업과 이들의 제품을 취급하는 소매상 등의 관련 움직임을 전했다.

1940년대 후반 등장한 바코드 관련 구상은 이후 1974년 벨기에 소재 비영리기구인 GS1이 모든 상품에 12∼13자리 숫자 코드를 부여하는 식의 범용상품코드(UPC)를 만들면서 표준화됐다.

이전에는 상품 가격을 일일이 장부에 입력해야 했는데, 바코드 도입으로 스캔만으로도 상품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됐고 소매상들의 제품 판매 및 재고 관리가 획기적으로 개선됐다는 게 GS1 측 설명이다.

1994년 발명된 QR코드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사용이 확대됐으며, 바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QR코드를 스캔해 제품을 결제하려면 GS1이 만든 디지털 표준에 따라야 하며, GS1 측은 기업 및 소매업체들과 함께 3년 안에 UPC 바코드를 결제가 가능한 QR코드로 완전히 바꾸기 위한 프로젝트 ‘선라이즈 2027’을 진행 중이다.

다만 이러한 전환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비자들이 언제나 QR코드 스캔을 통한 상호작용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를 복잡하게 하는 요인이라고 WSJ은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