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온·강수량 등 지표 분석
‘농림어업·건설’ 산업생산도 줄어
한국은행은 19일 ‘이상기후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이상기후 지수(CRI)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이상기후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CRI란 이상고온, 이상저온, 강수량, 가뭄, 해수면 높이 등을 바탕으로 기준기간보다 얼마나 이상기후 정도가 심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1980~2000년 CRI가 0이라고 하면 2001~2023년의 해당 지수는 1.731포인트였다.
분석 결과, 이상기후가 2000년 이전에는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이상기후 발생 시점으로부터 1년 뒤 산업생산 증가율이 약 0.6%포인트 하락했다. 이상기후가 농림어업은 최대 1.1%포인트, 건설업은 최대 0.4%포인트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같은 기간 이상기후는 소비자물가상승률을 0.03%포인트 상승시켰다. 2001년 이후 지난해까지 이상기후가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력은 과거(1980~2000년·0.08%포인트)보다 낮았지만 영향력 지속기간은 2개월 정도 길게 나타났다.
한은은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통한 수입으로 농축수산물 관련 대체효과가 커진 영향이라고 해석했다.
수입을 통한 대체 효과를 배제하면, 이상기후에 따른 인플레이션 추가 상승폭은 0.08%포인트까지 커졌다. 농축수산물 수입을 하지 않았으면 물가 상승 압력이 더 커졌다는 뜻이다.
시계열을 지난해 이후로 좁혀보면 이상기후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더욱 커졌다. 지난해 이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요인들을 계산하면 이상기후의 기여도가 평균 10%를 차지했다.
이상기후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도 편차가 컸다. 제주도는 전국에 비해 해수면 상승도가 높고 강원도는 이상고온 현상이 심해, 두 지역의 경우 이상기후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지속성이 과거보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임지선 기자 visio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