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보다 대기시간 더 긴 비행기
도로 막혀도 막대한 비용에 발목
바이든 친환경 관심에 자금 숨통
편집자주
‘그레이 아나토미’는 한국에도 팬이 많은 미국 드라마입니다. 외과의사가 주인공이어서 제목에 ‘해부학’이 들어가고 무대는 병원이죠. 여성·인종·성소수자 차별, 가정 폭력 등 사회 병폐 이슈가 극에 등장하고, 바로 이런 요인이 장수 비결로 꼽힙니다. 워싱턴 특파원이 3주에 한 번, 미국의 몸속을 들여다봅니다.4월 22일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미국 철도업체 브라이트라인 웨스트 고속철도 건설 공사 기공식의 참석자들이 행사를 기다리는 가운데 모니터를 통해 사업이 소개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는 오늘 미국의 진정한 첫 고속철도(America’s true first high-speed rail line) 건설을 시작하기 위해 네바다에 있다.”
지난 4월 22일(현지시간) 미국 교통부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에 이렇게 밝혔다. 미국 철도업체 브라이트라인 웨스트가 서부 캘리포니아주(州) 로스앤젤레스(LA) 옆 샌버너디노카운티의 랜초쿠카몽가에서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남쪽까지 이어지는 351㎞ 길이 고속철도 공사에 공식 착수했다고 알린 날이었다.
업체에 따르면 이 철도 위를 달리는 고속열차의 최대 시속은 322㎞(200마일)가 될 전망이다. 아직 미국 열차의 속도는 시속 250㎞ 아래다. 2028년 7월 LA에서 열리는 하계올림픽에 맞춰 해당 구간을 개통한다는 게 업체 목표다. 지금은 도로가 안 막혀도 차로 4시간 30분가량 걸리는 거리를 그때쯤이면 항상 2시간 남짓 만에 오갈 수 있게 된다.
시간 절약만이 아니다. 피터 부티지지 미국 교통부 장관은 당일 성명을 통해 △수천 개의 일자리 △더 나은 경제적 기회 △교통 체증 감소 △대기오염 완화 등도 기대 효과로 거론했다.
포화된 도로
이르면 2028년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리스(LA) 인근 랜초쿠카몽가와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남부 구간을 달리게 될 고속열차의 가상도. 브라이트라인 웨스트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속철로 불리려면 적어도 시속 250㎞ 정도로는 질주해 줘야 한다. 유럽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20개 넘는 나라가 보유한 고속철이 미국에는 아직 없다. 수도 워싱턴과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을 잇는 735㎞ 길이 구간 암트랙(Amtrak·미국철도여객공사) 열차 어셀러의 속도가 그나마 빠르지만, 시속 241㎞ 수준이다. 낡은 선로를 느린 화물 열차와 공유하느라 대부분 구간에서 그마저도 내지 못하기 일쑤다.
비행기를 타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불만이 많았다. 미국 지식 공유 플랫폼 쿼라에 닉네임 ‘데미안’이 올린 글을 보니, 차로 가기에는 다소 먼 800㎞ 거리를 비행기로 갈 때 얼마나 걸리는지가 도심 간 이동을 전제로 계산돼 있었다. 공항 왕복, 탑승 수속, 보안 검색대 통과, 대기, 이·착륙, 수하물 회수 등에 걸리는 시간을 셈해 보니 비행 시간(시속 900㎞) 자체는 54분밖에 안 됐으나, 총소요시간은 5시간 4분이나 됐다.
4월 23일 미국 워싱턴 기차역 유니언 스테이션 플랫폼에서 암트랙(Amtrak·미국철도여객공사) 열차를 타려는 승객들이 걸어가고 있다. 워싱턴=권경성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비해 시속 300㎞ 고속철로 동일 구간을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열차 탑승 시간은 2시간 40분으로 더 길어도,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걸리는 총시간을 따질 경우 3시간 35분으로 비행기보다 훨씬 짧았다. 교통편이 지연되거나 짐을 분실할지 모른다는 염려도 열차가 적다고 데미안은 부연했다. 미국 정부기관에서 협상가로 일하는 제러미는 본보에 “도시에서 도시로 이동할 때는 고속철이 있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늘 한다”고 말했다.
왜 이제서야
미국 수도 워싱턴과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을 왕복하는 암트랙(Amtrak·미국철도여객공사) 고속열차 어셀러. 올 1월 암트랙은 최고 속도가 현재(시속 241㎞)보다 시속 16㎞ 빠른 신형 어셀러의 시험 운행에 착수했다. 암트랙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수요가 있는데도 미국에서 고속철 공급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무엇보다 투자금 환수까지 얼마나 걸릴지 모를 정도로 막대한 구축 비용 때문이다. 고성능 열차만 갖춘다고 다 되는 게 아니다. 열차가 속도를 내려면 철로가 얼마간 반듯할 필요가 있다. 전용 철로가 필요한 이유다. 게다가 고속철은 전기로 움직인다. 지난해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아시아·유럽 철도의 전철화 비율은 60%를 웃돈다. 가장 비중이 높은 한국은 85%다. 반면 북미는 5%에도 못 미친다. 전력 공급 시스템 구비까지도 갈 길이 멀다.
여간한 수요로는 비용을 감당하기 힘든 수익 구조인 만큼 국가가 나설 수밖에 없다. 모든 고속철도망은 각국 정부가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결과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애초 여건이 정부가 적극 나서기가 까다롭다. 우선 국토가 방대하고 인구 밀도가 낮다. 고속철로 연결하기에 수요가 충분한 구간이 드물다. 아무리 빠른 열차로도 10시간 가까이 걸리는 장거리 여행은 항공기의 대안이 없다.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휴스턴 고속철도 구간에 투입되는 일본 고속열차 신칸센. 배경은 일본 후지산이다. 텍사스 센트럴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 굳어진 ‘자동차·항공기’ 연결 패턴의 관성도 강하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50년대부터 미국에서 자동차가 다진 입지는 탄탄하다. 승전에 기여한 제대 군인에게 보상으로 지급한 주택 보조금이 도시 주변에 중산층 교외를 형성했고, 이런 도시 구조는 자동차 급증과 차 중심 교통망으로 이어졌다.
화물 운송 위주 철도 인프라(기반시설)와 제도도 걸림돌이다. 미국 철로의 71%가 화물 철도 회사 소유다. 그러다 보니 속도가 빠른 여객 열차에 우선 통행권을 주는 연방 철도법이 무시되기 십상이다. 그래서 화물 열차가 지나가도록 여객 열차가 대기하는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차체를 한계 이상 가볍게 만들지 못하는 것도 선로를 공유하는 무거운 화물 열차와의 충돌 상황을 감안해 당국이 설정한 내구성 규제 기준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주요 5개 미국 고속철도 프로젝트. 그래픽=강준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뒤늦게 박차
그러나 전반적 분위기는 고속철에 희망적이다. 앤디 바이퍼드 암트랙 고속철 부문 수석 부사장은 6월 영국 가디언 인터뷰에서 “미국이 ‘고속철 클럽’ 가입 호기를 맞았다”며 “노선 하나를 성공시키면 대중의 요구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돌파구는 ‘고속철 맞춤형 대도시 조합’ 발굴이다. 바이퍼드 부사장은 “200~600마일(322~966㎞) 떨어진 적당한 거리의 미국 도시들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어 주는 게 현실적 미래”라고 했다.
댈러스와 휴스턴이 바이퍼드가 꼽은 모범적 ‘도시 짝’이다. 올 4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미 백악관 정상회담에서 두 도시 간 고속철로 ‘일본 신칸센’ 도입을 합의했다. 노선 길이 380㎞인 이 사업은 차로 3시간 30분 걸리는 도시 간 이동 시간을 90분으로 단축할 수 있다.
막히는 도로와 함께 고속철 사업을 추동하는 강력한 명분이 기후변화다. 암트랙에 따르면 워싱턴과 뉴욕 사이의 비행은 열차 이동보다 1인당 온실가스를 최대 3.7배 더 많이 배출한다. 자동차는 5.8배까지 늘어난다. 항공기의 탄소 배출과 이로 인한 기후변화가 난기류를 악화시켜 항공 교통을 더 불편하게 만든다는 분석도 있다.
2008년 9월 16일 당시 미국 민주당 부통령 후보이자 연방 상원의원이었던 조 바이든 대통령이 델라웨어주 윌밍턴 기차역에 도착해 암트랙(Amtrak·미국철도여객공사) 열차에서 내리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의원 시절 암트랙 열차를 자주 이용해 ‘암트랙 조’로 불렸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기약 없이 붙잡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전국 고속철 구상을 재출발시킨 것은 조 바이든 행정부의 의지였다. 부티지지 장관이 2021년 취임과 더불어 일찌감치 “미국에 고속철 시대를 열겠다”고 천명했고, 연방 상원의원 시절부터 기차를 꼬박꼬박 타 ‘암트랙 조’로 통하던 바이든 대통령은 그해 초당적으로 통과시킨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안’에 철도 현대화 예산으로 660억 달러(약 90조 원)를 편성했다.
이렇게 자금 조달에 숨통이 트이며 다시 활기를 찾은 미국의 굵직한 고속철 프로젝트는 대략 5개다. 가장 적극적인 주는 캘리포니아다. 브라이트라인 웨스트가 공사를 맡은 LA~라스베이거스 구간 외에 주정부 주도로 LA~샌프란시스코 구간을 최고 시속 354㎞ 열차로 2030년대 중반까지 연결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민간업체인 텍사스 센트럴이 암트랙과 협력해 짓는 텍사스 고속철은 댈러스~휴스턴 구간을 시속 322㎞ 열차로 2026년까지 잇는다는 게 애초 설계다. 암트랙은 워싱턴~보스턴 구간에 연내 시속 257㎞로 달리는 새 어셀러를 선보일 예정이고, 캐나다 밴쿠버와 미국 시애틀·포틀랜드를 2035년까지 연결하는 국가 간 고속철 건설 계획도 검토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ficciones@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