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0 (화)

[씨줄날줄] 샤워실의 바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1976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밀턴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 경제학과 교수는 저서 ‘선택할 자유’에서 샤워실의 바보란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 샤워실에서 물을 틀 때 따뜻한 물이 빨리 나오도록 수도꼭지를 온수 방향으로 돌렸다가 너무 뜨거운 물이 나오면 재빨리 찬물 쪽으로 돌리고, 반대로 너무 차가운 물이 나오면 온수 방향으로 돌리는 모습을 빗대 정부의 ‘널뛰기식 대응’을 비판할 때 쓰인다.

샤워실의 바보는 주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통화정책을 비난할 때 활용된다. 연준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1%였던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단박에 낮췄다. 이후 인플레이션 우려가 나왔으나, 제롬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일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2021년부터 물가가 치솟자 당황한 연준은 한 번에 0.5% 포인트를 올리는 ‘빅스텝’과 0.75% 포인트를 올리는 ‘자이언트스텝’을 반복한 끝에 현 수준(5.25∼5.50%)을 1년간 유지해 왔다.

한데 상황이 급변했다. 연준의 이코노미스트였던 클라우디아 샴 박사가 2019년에 만든 ‘샴의 법칙’이 발동되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증폭됐다. 샴의 법칙은 최근 3개월 실업률 평균치가 직전 12개월의 최소치보다 0.5% 포인트 높으면 경기침체에 빠졌다고 판단하는 지표인데, 현재 0.53% 포인트다. 이를 경기침체 신호로 받아들인 미국과 아시아 주식시장은 대폭락했고, 연준이 9월 금리를 0.5% 포인트 내리는 빅컷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샴 박사는 샴의 법칙이 경기침체 초기 국면을 보여 주는 지표일 뿐 예측도구가 아니며, 최근의 실업률 상승이 이민자 증가에 따른 결과라는 점에서 틀릴 수도 있다고 했다. 하지만 샴 박사는 지난 6월 언론 인터뷰에서 점진적인 금리 인하를 강조하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 유보를 비판했다. 샴의 법칙이 발동하면 4개월 전에 경기침체가 시작됐다는 뜻인데, 연준이 또다시 샤워실의 바보가 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황비웅 논설위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