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신화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33.99포인트(2.6%) 급락한 3만8703.27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60.23포인트(3%) 빠진 5186.33을, 나스닥지수는 576.08포인트(3.43%) 떨어진 1만6200.08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 지수와 S&P500 지수는 2022년 9월 13일 이후 약 2년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 마감했다.
미국 고용 지표 부진으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에,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인한 글로벌 자금 이탈, 인공지능(AI) 거품 우려 등이 악재로 작용했다. 여기에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면전 위험까지 고조되면서 투심을 악화시켰다.
급락의 원인 중 하나였던 지난주에 발표된 7월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비농업 신규 고용은 11만4000건 증가했다. 실업률은 4.3%를 기록했다. 고용 증가 폭은 전망치(17만6000건)를 크게 하회했다. 실업률도 예상치였던 4.1% 대비 높았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긴급 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다음 달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다만 미국 서비스업 경기 지표가 개선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침체 우려가 일부 완화됐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7월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1.4였다. 전월(48.8) 대비 2.6포인트 올랐다. 이 수치가 50을 밑돌면 경기 위축, 50을 웃돌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프리마켓에서 엔비디아 주가가 전일 대비 15%나 급락하는 등 주요 기업들의 낙폭 확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면서도 "장 시작 후 공개된 7월 ISM 서비스업 PMI가 시장 예상을 상회하자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일부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지수 상장지수펀드(ETF)는 5.4%, MSCI 신흥지수 ETF는 2.8% 하락했다. 유렉스(Eurex) 코스피200 선물은 3.8% 올랐다. 증권가는 국내 증시가 급락하면서 바닥 수준까지 접근했다고 분석했다.
김석환 연구원은 "과거 증시 위기 상황에서 코스피200 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순자산비율(PBR) 0.8배는 유의미한 지지력을 보여준 적이 많았다"며 "이를 코스피 지수에 활용해보면 대략 2400포인트 내외가 PBR 0.8배에 해당하는 구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일 급락으로 12개월 선행 PBR은 0.81배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향후 시장은 ‘단기 바닥’ 형성 및 반등에 무게를 두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의 12개월 후행 PBR은 0.88 배까지 밀렸는데 코스피 PBR 저점은 코로나19 당시 0.67 배를 제외하면 0.82~0.86 배 사이에서 형성됐다"며 "추가적인 주가 하락 폭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의 하락률은 역대 5위로 9.11테러, 닷컴버블 붕괴, 금융위기, 코로나 팬더믹 등 대형위기가 출현했을 때의 가격 움직임 그 자체였다"며 "지금은 팬데믹, 금융위기급의 침체 국면에 진입했다고 보기 어렵고 무역분쟁, 긴축 당시와는 하락의 성격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전일 8%대 폭락세가 비이성적이었기에, 기술적 매수세로 인한 단기 반등의 가능성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