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7월에만 14번 금리 올려도 '속수무책'…가계대출, 한 달 새 6.5조↑ '올해 최고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30일 기준 715조800억...전월 보다 6.5조 이상 늘어
부동산 경기 회복 기대감에 주담대 6.7조 늘어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7월 한 달간 14차례 금리 인상 단행
.우리은행은 이달 2일 대출금리 추가 인상


이투데이

은행 가계대출 수요가 폭주하고 있다. 지난 달에만 6조5000억 원이 불어났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증가폭이다. 금융당국의 압박에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지난달 총 14차례나 금리를 인상하는 등 가계대출 총량 조절에 나섰지만 약발이 전혀 통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15조8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말(708조5723억 원) 보다 6조5077억 원 늘어난 수치다. 영업일을 하루 남겨 뒀지만, 이미 올해 들어 최고치인 6월 증가분(5조3415억 원)을 넘어섰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를 주문하면서 시중은행은 물론 주택담보대출에 열을 올리던 인터넷은행들까지 줄줄이 대출금리를 올렸지만 잡히기는 커녕 되레 확대되는 모양새다. 9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시행을 앞두고 막차 수요가 몰린 데다 부동산 회복세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주담대가 가계대출 급증을 견인했다.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내집 마련을 위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 ‘빚투(빚내서 투자)’ 수요가 부활했기 때문이다. 실제 주담대는 상반기에만 22조2604억 원 폭증했다. △4월 4조3433억 원 △5월 5조3157억 원 △6월 5조8466억 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7월(30일 기준)에도 6조7182억 원을 기록하면서 올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은행들이 한 달에 최대 3번까지 대출금리를 올리고 있지만 속수무책이다. 이날 기준 5대 은행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연 3.05~5.54%다. 이달 9일(연 2.87~5.70%) 보다 0.18%포인트(p) 0.16%p 높아졌다. 우리은행은 2일부터 주담대 고정금리(5년 기준)를 0.15~0.30%p 높이기로 결정했다. 전세자금대출인 우리전세론의 고정금리(2년 기준)도 0.10%p 오른다. 우리은행은 앞서 지난달 12일과 24일에도 대출 금리를 올린 바 있다. 하나은행이 지난달 1일 가장 먼저 주담대 금리를 0.20%p 인상했다. 이어 국민은행이 3일 주담대 금리를 0.13%p, 같은달 11일과 18일에는 전세자금대출 금리와 주담대·전세대출 고정금리를 각각 0.2%p씩 상향 조정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15일과 22일에 은행채 3년·5년물을 기반으로 하는 주담대 상품 금리를 0.05%p씩 상향했고, 같은달 29일에는 주담대 금리를 0.1~0.3%p 올렸다. 농협은행도 지난달 24일 주담대 주기형·혼합형 상품의 금리를 0.2%p씩 인상했다. 주담대 수요를 쓸어담았던 인터넷은행도 속속 동참했다.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각각 3차례, 1차례씩 주담대 금리를 높였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권이 가산금리 조정을 통해 대출금리를 인상하고 있지만, 시장금리 하락과 부동산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대출이 크게 늘고 있다"라며 "8월에도 가계대출이 잡히지 않을 경우 대출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투데이

주택담보대출이 열흘 만에 1조원 이상 불어나는 등 가계대출 급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13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에 주택담보 대출 광고문이 붙어있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이 7월말, 512조8875억원과 비교해 이달들어 열흘만에 1조2299억원 불어나 514조117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최근 인기를 끄는 50년 만기 초장기 주택담보대출에 일제히 연령 제한을 두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투데이/김범근 기자 (nova@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